노후생활은 국민이 알아서 하세요…한국 연금 수준, 이 정도일 줄이야

맹성규 매경닷컴 기자(sgmaeng@mkinternet.com) 2023. 10. 18. 15: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은 기사와 상관 없음. [이승환 기자]
한국의 연금제도가 전 세계 47개국 중 42위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17일(현지시간) 자산운용업체 머서와 글로벌 투자전문가협회(CFA)가 발표한 2023 글로벌 연금지수(MCGPA)에 따르면, 한국의 연금제도는 100점 만점 중 51.2를 기록했다.

머서와 CFA 협회는 각국의 연금제도를 적정성과 지속가능성, 운용관리 등 3개 분야로 나눠 평가한 뒤 가중치를 줘 합산하는 방식으로 순위를 매겼다.

전체 순위는 51.8을 기록한 인도네시아에 이어 42위에 머물렀다.

연금제도에 대한 평가가 한국보다 낮은 국가는 태국(46.4)과 터키(46.3), 인도(45.9), 필리핀(45.2), 아르헨티나(42.3) 등 5개국이었다.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네덜란드(85.0)였다. 미국(63.0)과 일본(56.3)은 각각 22위와 30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연금 혜택과 정부의 지원, 자산 성장 등으로 평가되는 적정성 분야에선 39.0으로 47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지속가능성 분야는 27위, 운용관리 분야는 34위였다.

머서는 한국의 연금제도에 C등급을 부여했다. C등급은 ‘전반적으로 유용하지만 리스크와 약점이 존재하고, 이를 해결하지 않을 경우 연금제도의 효과와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이 의문시된다’는 뜻이다.

47개국 중 C등급 평가를 받은 국가는 한국과 함께 사우디아라비아와 브라질, 중국, 대만, 일본, 보츠와나 등 15개국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