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이 보내준 생활비 어디서 뽑나”…ATM 10년새 34% 급감
온라인뱅킹·간편결제 확산과
은행 비용절감 시도 등 영향
17일 매일경제신문이 4대 은행(KB국민·우리·신한·하나은행)으로부터 취합한 자료에 따르면 이들이 보유한 ATM(CD기 포함) 수는 지난 2013년 2만4502대에서 올해 9월 기준 1만6287대로 34%가량 줄었다. 10년새 4대 은행이 보유한 ATM기 3대 중 1대가 사라진 꼴이다.
ATM 수의 감소는 현금 수요가 줄어들고 있는 사회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각종 택시·고속버스 예약 앱, OO페이·△△페이 등 속속들이 생겨난 온라인 간편결제 시스템이 우리 삶 구석구석을 파고들며 현금 쓸 일이 점차 줄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사용 금액기준 현금 이용 비중은 2013년 34.8%에서 2021년 14.6%로 반토막났다. 반면 핀테크기업이 제공하는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 비중은 집계를 시작한 2020년 60.8%에서 올해 상반기 67.2%까지 확대됐다. 한은 조사에 따르면 40대 이하 연령대에서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경험 비율이 80% 중후반대로 높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시중은행의 ATM 수가 빠르게 감소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온라인뱅킹이나 각종 핀테크 기술에 익술치 않고 현금거래를 선호하는 고령층의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지방의 경우 일부 가게 등에서는 여전히 현금결제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 데 고령층은 현금을 인출할 ATM기 위치조차 잘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ATM기에 더해 시중은행의 지역 영업점까지 줄어들어 온라인뱅킹 활용에 미숙한 고령층의 금융접근성을 더욱 악화 시킬 수 있다는 염려도 있다. 유의동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이후 올해 7월까지 시중은행 5곳(KB국민·농협·우리·신한·하나은행)은 지점 총 651곳을 폐쇄했다.
하나은행이 160곳, 국민은행이 159곳을 폐쇄했고 우리·신한·농협은행이 각각 152곳, 141곳, 39곳을 줄였다. 특히 국민은행은 올해에만 55개의 지점을 폐쇄했다. 유 의원은 “은행의 영업·수익 활동이 금융취약계층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금융당국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 지점·ATM 위치와 이용정보를 휴대폰에서 제공하는 ‘금융대동여지도 앱’ 관련 홍보를 강화하고 서비스를 좀 편리하게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55km 구간서 90km 달렸다고…‘속도 위반’ 벌금이 19억원? - 매일경제
- 서울대 대학원도 입학 취소되나…베트남 여행간 조민에 무슨일이 - 매일경제
- “할아버지라도 돈만 주면”…‘홍대 지뢰녀’ 여중생의 충격고백 - 매일경제
- 순식간에 1000도 활활…‘불타는 전기차’ 없앨 기술, 한국서 개발됐다 - 매일경제
- 주말에 예약이 꽉 찰 정도...‘똥’ 향한 집념에 생긴 이곳 - 매일경제
- 손녀 말 사고, 교회 헌금하고…시민단체 ‘국고보조금’ 막 쓰다 걸렸다 - 매일경제
- 이러니 BJ 하려고 난리지…‘별풍선’ 덕에 한달에만 34억 터졌다 - 매일경제
- ‘시진핑 들러리라도 상관없다’ 미중 사이 광폭행보 베트남의 진짜 속내는 [신짜오 베트남] -
- [단독] 중소기업 파산 ‘역대급’…어음 부도액 8년 만에 최고치 - 매일경제
- 구단 최초 외부 영입→그동안 걷지 않은 길 걷는다…LG 원클럽맨과 손잡은 삼성, 99688378 잔혹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