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 ESG와 친환경을 한 자리에서 만나다

2023. 10. 17. 17: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거리에 커피전문점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커피를 테이크아웃할 때 대부분 1회용 컵을 사용합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커피전문점 등에서 사용되는 1회용 컵은 연간 28억 개로 국민 한 사람당 1년에 56개를 사용하는 분량이라고 합니다.

코엑스에서 열린 '2023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10월 11일~13일)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부, 기업, 소비자의 노력을 보고 왔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거리에 커피전문점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커피를 테이크아웃할 때 대부분 1회용 컵을 사용합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커피전문점 등에서 사용되는 1회용 컵은 연간 28억 개로 국민 한 사람당 1년에 56개를 사용하는 분량이라고 합니다.

1회용 컵 사용 현황과 다회용 컵 사용 이유.

플라스틱 컵 한 개의 생산 및 폐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23g이 발생합니다. 2050년 ‘탄소중립’이 목표인데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탄소중립’은 탄소를 배출하는 만큼 탄소를 포집하여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코엑스에서 열린 ‘2023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10월 11일~13일)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부, 기업, 소비자의 노력을 보고 왔습니다. 

다회용 컵 반납을 체험하는 모습. 다회용 컵을 사용하면서 자원순환 및 탄소중립 생활실천을 함께 하고 있다.

다회용 컵 반납을 체험해 보았습니다. 현재 제주 및 세종 지역의 일부 카페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입니다. 첫째, 음료를 테이크아웃할 때 다회용 컵 보증금을 같이 결제합니다. 둘째, 각지에 설치된 수거함에 반납하고 보증금을 돌려받습니다. 셋째, 다회용컵을 회수하여 세척하고 다시 카페로 가져다줍니다. 이렇게 하면 1회용기를 다회용기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행사장에 설치된 다회용기 수거함과 텀블러 세척존.

카페에서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도 1회용품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일부 카페에서는 텀블러 사용 시 할인 혜택을 주기도 합니다. 텀블러를 휴대해서 사용하면 세척이 필요합니다. 박람회장에서 텀블러 세척기가 눈에 띄었습니다. 텀블러와 뚜껑, 빨대를 각각 세척기에 넣어주면, 1분 안에 씻고 소독해서 돌려줍니다. 텀블러 사용을 편하게 도와주는 기계라 관공서 등으로 설치하는 장소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커피 찌꺼기 소재로 만든 컵.
분리배출한 투명 페트병 재생 과정.

요즘 투명 페트병을 분리배출합니다. 투명 페트병은 재생하여 고품질 원료로 활용 가능합니다. 페트병을 재활용해서 티셔츠를 만들기도 합니다. 

자원의 순환사례(우유갑, 폐장난감, 폐유리).

우유갑을 모아 재생휴지를 만드는 일을 꾸준히 해오는 기업이 있어 반가웠습니다. 또한 폐장난감을 기부받아 자원을 순환시키는 기업이 있었습니다. 폐유리를 활용한 유리공예 상품을 보며 영화 ‘엘리멘탈’의 주인공 엠버가 생각났습니다. 이처럼 폐자원을 순환시켜 비즈니스를 만드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B2B, B2C부터 B2G까지 친환경의 허브이자 국내 유일 녹색산업 비즈니스 박람회인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

기업의 ESG 경영을 살펴보면 사회에 미칠 장기적인 영향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ESG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를 뜻하는 비재무적 요소입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인 ESG 경영을 통해 소비자들의 가치 소비가 이뤄지는 선순환을 기대합니다.

2023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 행사장 입구.

박람회장에서 ‘친환경’ 표지를 홍보하는 꿀벌 캐릭터를 친근하게 만나보았습니다. 상품에 초록색으로 ‘친환경’이라고 써진 마크입니다. 소비자에게는 제품의 정확한 환경 정보를 제공하여 녹색소비를 촉진하고, 기업에게는 녹색제품 개발 및 생산을 유도하여 지속가능 생산·소비체계를 구축하는 게 목적입니다. 앞으로 상품을 구매할 때 ‘친환경’ 마크를 확인하고 녹색소비를 하길 추천합니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한지혜 soulofaqua@naver.com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