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사 강의’ 완간 유홍준 “생애 끝날까지 ‘미술사가’로 기억되고 싶어요”

김유태 기자(ink@mk.co.kr) 2023. 10. 17. 15: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서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를 13년 만에 완간한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 [연합뉴스]
“소파에 누워서 편하게 읽는 미술 이야기이길 바랐죠. 그런데 총 2500쪽에 여섯 권, 이렇게 두꺼운 책이 될 줄은 몰랐네요(웃음).”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가 드디어 완간됐다. 2010년 제1권 첫 출간 후 13년 만이다. 총 6권에 도판만 2650개가 실린 미술사 대작이다.

저자인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는 17일 서울 광화문 한 카페에서 기자들과 만나 “근·현대 미술사까지 써야 ‘완간’일 수 있지만 그건 별도로 쓰기로 하고, 이제 고미술사 강의를 끝내려 한다. 이제 한숨 돌리는 중”이라며 웃었다.

한국미술사를 하나의 시리즈로 정리한 책이 출판계에서 처음은 아니다. 그러나 한 저자가 ‘특정 시대’가 아닌, 한국 전(全) 시대의 미술을 아우르는 책을 출간하는 건 드문 일이다.

‘유홍준 한국미술사 강의’를 13년 만에 완간한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 13일 서울 광화문의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부채를 메모장 삼아 이야기를 이어갔다. [연합뉴스]
유 교수는 “미술사가로서 통사를 쓰는 사람은 세기에 한두 명 나온다. 이번 ‘한국미술사 강의’는 제게 그런 무게감을 가진 책”이라며 “어려움도 없지 않았다. 회화사 전공인 제가 한국미술사 전체의 통사를 쓰는 건 피부과 의사가 의학개론을 쓰고, 민법학자가 법학개론을 쓰는 것만큼 어려운 일이었다”고 고백하기도 했다.

새로 출간된 ‘한국미술사 강의’ 제5권 주제는 ‘조선: 도자’다. 조선시대 백자에 대한 유 교수의 사유는 격이 깊다. ‘조선 백자의 특질은 한마디로 순백(純白)에 대한 숭상으로 요약된다’고 그는 적었다.

공예와 생활·장식미술을 주제 삼은 제6권에서 유 교수는 전례 없던 시도를 했다. 금속공예, 목공예 등 재료 위주의 분류를 거부하고 왕실공예, 선비공예, 규방공예 등 사용자 측면에서 계층별로 구분했다.

유 교수는 “재료와 기술에 따라 조선미술을 분류했는데, 사실 이에 동의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책 출간이 늦어졌다. 당대 사용자 입장에서 분류하니, 드디어 시대의 미감(美感)이 한눈에 보였다”고 말했다.

‘유홍준 한국미술사 강의’를 13년 만에 완간한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 [연합뉴스]
특히 조선미술사에서 소외됐던 ‘자수’를 하나의 중심 장르로 설정한 점도 이 책의 특징이다.

유 교수는 “자수는 침선공예와 회화의 만남”이라며 “왕비의 옷 등 궁정 대례복을 보면 감상화들과 다른 아름다움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30년 베스트셀러’인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저자인 유 교수는 이날 깊은 속내도 털어놨다.

그는 “나는 미술 전공자로서 ‘미술사가’이길 원했고 끝까지 미술사가로 기억에 남길 희망한다”며 “어쩌다 보니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가 유명해져서 작가 대접을 받았지만, 미술사가로서의 자세를 버리지 않았기 때문에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도 호응을 얻었을 것”이라며 웃었다.

유 교수는 1949년 서울 출생으로, 학계와 대중의 장벽을 허물고 동양 미술과 문화재를 알리는 데 전심을 다해 왔다. 그는 이날 학계 연구와 풍토에 관한 아쉬움도 토로했다.

그는 “서양은 미술사를 시대별로 나누는데, 한국은 회화사 도자사 등 장르로 나눈다”며 “서양미술에서 ‘르네상스’를 전공하면 콘텐츠가 풍부해진다. 우리도 ‘18세기 전공’이 생기면 문학과 사상을 모두 녹여 이해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를 출간중인 유 교수는 6권짜리 대작을 다시 한 권으로 응축할 계획이다. 그는 “쓸 때는 몰랐는데 이제서야 한 권으로 써볼 수 있을 것 같다”며 웃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