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기술로 고용량 차세대 2차전지 만든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뿌리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2차전지인 리튬금속전지를 개발했다.
상용 2차전지인 리튬이온전지는 음극재로 흑연을 쓴다.
이와 달리 음극재로 리튬을 쓰는 리튬금속전지는 리튬이온전지보다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
생산기술연구원 친환경열표면처리연구부 오세권 선임연구원과 숙명여대 화공생명공학부 류원희 교수 공동 연구팀은 덴드라이트 성장을 제어할 수 있는 무음극 전지 시스템을 제안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뿌리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2차전지인 리튬금속전지를 개발했다.
상용 2차전지인 리튬이온전지는 음극재로 흑연을 쓴다. 이와 달리 음극재로 리튬을 쓰는 리튬금속전지는 리튬이온전지보다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 그러나 나뭇가지 모양의 결정이 음극 표면에 엉겨붙는 덴드라이트가 형성된다는 게 단점으로 꼽힌다. 덴드라이트가 발생하면 전지의 효율과 수명이 줄어든다.
생산기술연구원 친환경열표면처리연구부 오세권 선임연구원과 숙명여대 화공생명공학부 류원희 교수 공동 연구팀은 덴드라이트 성장을 제어할 수 있는 무음극 전지 시스템을 제안했다. 무음극 전지 시스템은 음극재를 없애 부피와 무게를 줄여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것을 말한다. 이 시스템에선 집전체(전극을 지지하는 얇은 금속 판)가 전자의 이동 통로와 음극 역할을 동시에 한다.
연구팀은 3차원 다공성 구조를 갖는 구리 집전체로 무음극 전지 시스템을 개발했다. 뿌리기술의 일종인 '전해도금' 기술로 덴드라이트 성장을 제어하는 최적 구조(기공 12㎛, 두께 17㎛)를 갖는 다공성 구리 집전체를 설계했다.
전해도금 기술은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수용액 속 금속을 전도성 재료 표면에 환원, 석출시키는 것을 말한다. 연구팀은 도금시 발생하는 수소 기체의 발생 속도 및 크기를 제어하면서 다공성 구리 집전체를 제작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리튬 충·방전시 수직 형태로 덴드라이트를 만드는 박막 형태 집전체와 달리, 다공성 집전체에선 리튬 이온이 3차원 구조에 갇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한다"며 "덴드라이트로 인한 폭발 등 안전 사고의 근본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무작위적인 덴드라이트 형성을 막는 신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이번 연구성과는 화학공학 분야 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에 실렸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비트코인 6조원어치 쥔 '큰손'…사법절차 지연에 대박 터졌다
- 이스라엘 "끝까지 싸운다"…'전쟁광' 푸틴은 뜯어 말렸다
- "삼겹살에 소맥 시켰더니…" 회식 갔다가 '화들짝' 놀란 이유
- "저칼로리인데 몸에 좋다"…다이어트 열풍에 '인기 폭발'한 식품
- "성관계 중 다쳤다" 4700만원 뜯어낸 30대…피해자 극단 선택
- 전종서 "마른 몸 싫어 일부러 살 찌워…'발레리나'로 근육 만들어" [인터뷰+]
- 조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입학도 취소되나…"학적 처리 파악 중"
- "문채원 루머로 수익 창출, 참지 않겠다"…소속사, 유튜버 추가 고소 [공식]
- 여고생 감금하고 성폭행, 라이브 방송한 그놈들 잡고 보니…'충격'
- 57억 투입된 현대판 '노아의 방주'…70억 들여 한국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