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방출 방사성 세슘 67%, 인근 숲에 잔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주변 숲에서 다량의 방사성 오염물질이 잔류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또 사고 당시 방출된 세슘-137의 67%가 여전히 숲에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진은 "숲에 남아 있는 세슘-137이 침식작용으로 하류로 흘러갈 것"이라며 "원전사고로 이 지역을 떠났던 주민 가운데 30%가 돌아온 상황에서 일본 정부가 일부 오염만 제거했던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었는지 의문이 제기된다"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주변 숲에서 다량의 방사성 오염물질이 잔류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고가 발생했던 2011년 3월 당시 방출된 세슘(Cs-137)의 67%가 숲에 남아 있는 것이다.
16일(현지시간) 반드롬므 로잘리 프랑스 지질광물조사국(BGRM) 소속 박사가 이끄는 프랑스·일본 공동연구진은 이같은 내용의 연구결과를 과학계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를 통해 발표했다.
후쿠시마 원전 북동부에 있는 이 지역은 마노 댐의 상류에 위치한 가파른 산악지대로 44㎢(1331만평)에 달한다.
이 지역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당시 방사능 낙진피해가 컸다. 당시 일본 정부는 표면에 있는 흙을 제거하는 등 제염작업에 나섰지만 해당 지역이 가파른 산악지대였던 까닭에 주거지 등에 비해 우선순위에서 밀렸다.
연구진은 모니터링과 모형화 실험을 통해 세슘-137 이동 흐름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일본 정부가 오염된 토양을 제거한 면적은 전체 산악지역의 16%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또 사고 당시 방출된 세슘-137의 67%가 여전히 숲에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오염 제거작업이 이뤄진 지역의 경우엔 강으로 유입되는 세슘-137의 농도가 2011년과 2020년 사이에 약 90% 감소해 오염 제거가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세슘-137 반감기는 약 30년이다.
연구진은 “숲에 남아 있는 세슘-137이 침식작용으로 하류로 흘러갈 것”이라며 “원전사고로 이 지역을 떠났던 주민 가운데 30%가 돌아온 상황에서 일본 정부가 일부 오염만 제거했던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었는지 의문이 제기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