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명이라도 피난시켜서 다행"…日, 이스라엘 유료 구출에 궁색한 변명

권진영 기자 2023. 10. 17. 10: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정부가 이스라엘에서 탈출하려는 교민에게 인당 3만 엔(약 27만 원)을 청구한 것을 두고 현지에서 비판이 쇄도하고 있다.

외무성의 한 간부는 마이니치에 "일본인 대피는 그 나라에서 피난시키는 것이 목적이지 일본에 돌려보내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며 "8명이라도 (구출)해서 다행이다"고 변명했다.

TBS뉴스는 지난 4월 수단에서 자위대기로 일본 교민을 대피시켰을 때에도 개인에게 운임 비용을 청구하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日귀국이 아니라 그 나라에서 피난시키는 것이 원래 목적"
수단 대피 당시에는 무료로 대피…과거 사례와 일관성 없어
14일(현지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 인근 벤구리온 국제공항에서 일본 교민들이 출국 절차를 밟고 있다. 2023.10.14/ ⓒ AFP=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서울=뉴스1) 권진영 기자 = 일본 정부가 이스라엘에서 탈출하려는 교민에게 인당 3만 엔(약 27만 원)을 청구한 것을 두고 현지에서 비판이 쇄도하고 있다. 외무성은 사전 수요 조사 당시 행선지도 제대로 밝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에 벌어진 무력 충돌을 피해 출국을 원하는 교민을 위해 전세기 1편을 준비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14일 이스라엘 텔아비브 국제공항을 출발해 당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 도착한 전세기에 탑승한 일본인 교민은 고작 8명. 온라인 일각에서는 "자기 부담 3만 엔으로 행선지가 두바이까지인 것에 대한 불만이 나오고 있다"는 보도와 함께 "쪼잔하다"는 반응이 줄을 이었다.

대조적으로 우리 군이 파견한 수송기가 우리 교민과 함께 일본인 51명을 한국까지 무료로 이송하자 일본 정부에 대한 비판은 더 날카로워졌다.

이즈미 겐타 입헌민주당 대표는 지난 15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일본 정부의 전세기. 일본인 8명 태우고 유료로 두바이 도착. 한국 정부 수송기. 한국 국민뿐만 아니라 일본인 51명 태우고 무료로 한국 도착"이라며 일본 정부의 대응을 꼬집었다.

이즈미 대표는 16일도 교도통신에 "한시라도 빨리 대피하고자 하는 분들인 51명 있었다는 것을 정부가 파악하지 못했다"며 "정보수집력과 결단력이 부족했다"고 연일 정부를 직격했다.

외무성은 사전 조사와 달리 실제 탑승자가 8명에 그친 것은 "예상 밖"이라며 당황한 기색이다. 사전 조사에 따르면 당초 100명 이상이 탑승을 희망한 것으로 전해졌다. 단, 이때 외무성은 "중동 지역의 전세기 수요가 증가해 시시각각 상황이 변하기" 때문에 행선지를 밝히지 않은 채 조사를 실시했다.

두바이를 행선지로 정한 데 대해서는 "조기 운항을 우선한 결과로, 뚜껑을 열어보니 8명이었다"고 설명했다.

외무성의 한 간부는 마이니치에 "일본인 대피는 그 나라에서 피난시키는 것이 목적이지 일본에 돌려보내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며 "8명이라도 (구출)해서 다행이다"고 변명했다.

탑승자가 대피에 드는 비용을 자부담한 것과 관련해서도 일본 정부는 상업용 비행편이 운항하고 있는 동안은 자기 부담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적절하다"는 입장이다.

마이니치는 이 같은 방침이 상용 비행편을 이용하는 사람들과의 공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미국과 영국도 마찬가지로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텔아비브 국제공항은 평상시에 비해 운항편이 40%가량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운항은 하고 있으니 전세기는 어디까지나 보완재 격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같은 일본 정부의 입장은 일관적이지 않다. 과거 예외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지난 1990년 이라크가 쿠웨이트에 침공당했을 당시에는 공비로 이라크에 전세기를 띄워 피난을 도왔다.

"내전 발생 및 무력 공격 등 보호 관점에서 정부로서 대피를 부탁해야만 하는 경우" 및 "전세기 이외에는 이동 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공비로 지불한다는 방침에서였다.

TBS뉴스는 지난 4월 수단에서 자위대기로 일본 교민을 대피시켰을 때에도 개인에게 운임 비용을 청구하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외무성 관계자는 "일본만 '대응이 늦다'는 말을 듣지 않기 위해 서둘렀지만 고작 8명이라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다"며 어깨를 축 늘어뜨렸다.

realkw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