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건강학 <269>] 오십견으로 오인 받는 어깨 힘줄 파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어깨는 우리 몸의 관절 중 유일하게 360도 회전할 수 있다.
파열이 심하지 않다면, 먼저 어깨 관절의 무리한 사용을 줄이면서 힘줄이 손상된 병변 부위의 재생 능력을 도모하는 체외충격파 물리치료나 프롤로 주사 치료 등을 하면서 스스로 회복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회전근개 파열은 치료 후 또다시 어깨를 과다하게 사용하면 재파열의 가능성이 있고 통증이 재발할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깨는 우리 몸의 관절 중 유일하게 360도 회전할 수 있다. 팔을 들고 내리기, 회전하기, 앞뒤로 움직이기, 어깨를 굽히고 펴는 등의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이러한 어깨 회전운동을 담당하는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네 개의 힘줄을 말한다. 이 중 일부가 파열돼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 회전근개 파열이다.
회전근개가 한꺼번에 끊어지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네 개의 힘줄 중 일부 힘줄이 파열되더라도 나머지 힘줄이 기능하므로 팔을 움직이고 사용하는 데 큰 문제가 없지만, 파열된 힘줄이 사용되는 특정 각도로 움직일 때 통증이 발생한다.
가령 잡은 물건을 들어 올리는 동작이나 팔을 위나 옆으로 올릴 때, 손을 등 뒤로 돌렸을 때 등 특정 방향의 동작을 할 때 어깨가 아프거나 어깨에 힘이 들어가는 동작에서 날카로운 통증이 발생한다면, 회전근개 파열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통증으로 팔이 안 올라간다고 오십견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오십견은 특별한 이유 없이 어깨 관절낭이 굳어 모든 방향에서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스스로 팔을 올릴 수 없다. 남이 올려주려고 해도 어깨가 얼어붙는 듯이 굳어서 안 올라가는 질환이다.
하지만 회전근개 파열은 팔을 올릴 때 통증이 발생하지만, 어느 정도 스스로 팔을 올릴 수 있고 아예 완전히 팔을 들어 올리면 통증이 줄어들기도 한다.
또한 팔을 위로 쭉 뻗은 상태에서 천천히 아래로 내렸을 때 중간쯤에서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팔이 툭 하고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거나 잡은 물건을 떨어뜨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회전근개가 파열된 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거나 파열 정도가 심각할 때 만성적으로 근육이 퇴행하거나 근력 저하가 동반돼 나타나는 증상이므로 반드시 전문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회전근개 파열은 힘줄이 ‘싹둑’ 하고 끊어지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뜯어지듯 시작해 파열 부위가 점점 광범위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때 적절한 치료를 하고 어깨를 보호해야 한다. 간혹 회전근개 파열을 오십견으로 오인하고 무리한 운동을 지속하다가 병을 키워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
회전근개 파열 치료는 파열 정도와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달라진다. 파열이 심하지 않다면, 먼저 어깨 관절의 무리한 사용을 줄이면서 힘줄이 손상된 병변 부위의 재생 능력을 도모하는 체외충격파 물리치료나 프롤로 주사 치료 등을 하면서 스스로 회복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힘줄이 50% 이상 파열된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봉합술을 해야 한다.
관절내시경 수술의 장점은 절개 부위가 작아 정상 조직의 손상이 덜하기 때문에 입원 기간이 짧고 수술 후 회복이 빠른 것이다. 또한 회전근개 파열에 봉합술과 함께 PRP(자가혈소판풍부혈장) 치료가 가능해졌다. PRP 치료는 환자 본인의 혈액에서 혈소판을 분리해 성장 인자를 추출하고 손상된 부위에 주입하면, 해당 조직의 재생 및 염증 완화를 도모할 수 있는 치료를 말한다.
PRP 치료를 받은 집단은 이 치료를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재파열률이 낮고 수술 후 통증이 감소해 안전성 및 유효성을 인정받았다. PRP 치료가 보건복지부 신의료 기술로 허가받으면서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해졌다.
또한 회전근개 파열은 치료 후 또다시 어깨를 과다하게 사용하면 재파열의 가능성이 있고 통증이 재발할 수 있다. 가급적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어깨에 힘이 들어가는 동작을 피하고 관절운동과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다.
Copyright © 이코노미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