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노사의 굴욕과 세컨더리 보이콧
1077년 1월 눈발이 휘날리는 이탈리아 북부 산지 카노사(Canossa) 성 앞에 한 젊은이가 3일째 맨발로 서 있었다. 옷차림은 수도자처럼 얇고 검소했고 신발조차 신지 않았다. 신성로마제국으로 불리던 독일의 황제 하인리히 4세였다. 그는 자신의 주교 임명권을 지키려고 교황에게 대항하며 결기를 보이던 젊은 권력자였다. 하지만 교황에게 파문당해 황제의 자리와 생명까지 위협을 받게 되자 결국 교황의 용서를 구하려고 치욕을 무릅쓰고 추위 속에 떨며 서 있었다.
성안에서 그를 내려다보고 있는 사람은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였다. 그는 세상의 악을 해결하려면 성직자 계급이 앞장서야 하고 세속의 군주들은 성직자의 지도에 따라야 한다는 신념으로 가득 찬 인물이었다.
문제의 발단은 대주교 임명권이었다. 하인리히 4세가 자신의 궁정 신부를 독일 대주교로 임명하려고 하자 교황이 이의를 제기했다. 그러나 황제는 자신의 권한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임명을 강행했다. 결국 그레고리우스 7세는 하인리히 4세를 파문했다. 그리고 2개월 내 파문이 철회되지 않으면 황제 지위도 박탈한다고 경고했다.
하인리히 4세는 주변 사람이 등을 돌리기 시작하자 위협을 느껴 사죄를 위해 교황을 찾았다. 그러나 교황은 3일 동안 하인리히 4세가 성안에 들어오는 것조차 허락하지 않으며 이 소문이 유럽 전체에 널리 퍼지기를 기다렸다. 본보기 삼아 교권을 강력히 세우려는 의도였다. ‘카노사의 굴욕’이라는 이 역사적 사건은 세계사에서 중세 시대 교권의 위세를 보이는 상징이 됐다.
교황은 군대를 보유하지 않아 무력으로 세속 군주를 직접 벌할 수는 없었지만, 신을 대행해 징계를 내릴 수 있었다. 특히 파문은 교인의 자격을 박탈하는 것으로, 가장 엄중한 벌이었다. 파문은 천국을 갈 수 없게 되는 내세의 문제만이 아니라 현세에서도 사회적으로 단절돼,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의미했다. 중세 시대는 천주교만 유일 종교로 인정받던 사회였으며 교황과 교회 지도자들이 세속 군주보다 상층부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신자였다. 파문당한 사람과 교류하거나 협력하는 사람 역시 파문당하게 된다. 요즘 표현으로 바꾸면 일종의 세컨더리 보이콧이 전 사회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교황의 권력이 황제의 권력을 이긴 비결이다.
지금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세컨더리 보이콧은 국제금융거래에서 나타난다. 국제금융거래는 주로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거래 시스템으로 이뤄진다. 이는 달러 기반 결제 시스템이어서 미국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 국제사회에서 금융 제재를 받게 되면 SWIFT에서 축출하는 것이 큰 징계 중 하나다. 국제결제가 불가능해지면 금융 거래만이 아니라 무역 거래까지 중단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SWIFT에서 축출되면 제삼자 거래 중지라고 하는 세컨더리 보이콧이 함께 징계에 포함된다. 축출된 국가와 금융거래를 하는 국가나 금융기관도 제재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그래야 실질적 징계의 효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이란, 북한이 그 대상이었고, 지난해부터 러시아가 이 제재를 받고 있다.
그런데 러시아와 북한이 최근 정상회담을 하며 군사 협력을 가시화하고 있다. 양국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어 물자의 교역이나 무기 거래도 막을 방법이 없다. 북한과 러시아는 이미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를 받고 있으며 SWIFT에서도 축출됐다. 양국 간 군사 협력이 실제 진행되더라도 제재할 추가 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얘기다. 게다가 중국이 2015년 설립한 위안화 기반의 국경 간 위안화 지급 시스템(CIPS)은 2022년 기준 107개국 1353개 금융기관이 사용하고 있다. 북한과 러시아에 대한 금융 제재와 세컨더리 보이콧의 위협이 이전 같은 위력을 갖지 못하게 된 것이다. 한반도와 글로벌 위협을 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국제 협력의 틀이 필요하다.
Copyright © 이코노미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