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폴리매스(polymath)/박현갑 논설위원

박현갑 2023. 10. 17.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가 '올림픽'이라는 이름이 붙은 국제대회에서 처음으로 우승한 건 1977년 23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였다.

금메달 12명 등 모두 21명이 입상해 기술 강국의 위상을 전 세계에 떨쳤다.

영국의 역사학자로 '지식의 사회사'를 쓴 피터 버그는 '폴리매스'라는 책에서 여러 분야에서 지식과 전문성을 갖추고 성취를 이룬 사람을 '폴리매스'라고 부른다.

잡스나 머스크 같은 폴리매스가 우리 교단에 많을수록 교실은 펄떡거리지 않을까.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올림픽’이라는 이름이 붙은 국제대회에서 처음으로 우승한 건 1977년 23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였다. 금메달 12명 등 모두 21명이 입상해 기술 강국의 위상을 전 세계에 떨쳤다. 박정희 당시 대통령의 ‘공업입국’ 정책이 거둔 성과이자 ‘한 우물 파기형’ 인재 양성의 결과이기도 했다. 지금은 인기가 시들해졌지만 당시 특성화고교라 할 공업고등학교는 정부의 기능인력 우대 정책에 힘입어 성적 우수자들이 몰리는 인기 학교였다.

한데 세상이 바뀌었다. 지금은 이런 한 우물 파기형 인재도 필요하지만 다양한 영역을 엮어 낼 줄 아는 ‘융합형’ 인재가 더 필요하다. 서울대 등 일부 대학에서 시행 중인 신입생의 ‘무전공 입학’ 비율 확대나 2025년부터 시행할 고교학점제는 모두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제도다. 그런데 고교학점제를 두고 논란이 뜨거운 모양이다. 학생들은 수능시험에 나오는 과목 중심으로만 선택할 텐데, 교사들은 전공과목 외 다른 과목도 준비해야 해 제도의 도입 취지를 살릴 수 있느냐는 것이다.

융합형 인재를 추구하는 교육계가 참고할 만한 ‘폴리매스’(polymath)라는 융합형 인재를 다룬 책들이 있다. 영국의 역사학자로 ‘지식의 사회사’를 쓴 피터 버그는 ‘폴리매스’라는 책에서 여러 분야에서 지식과 전문성을 갖추고 성취를 이룬 사람을 ‘폴리매스’라고 부른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대표적인 경우다. 독일의 대문호인 괴테도 마찬가지다. 그는 스스로를 과학자로 일컬었다. 철학은 물론 해부학, 식물학, 광물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한마디로 박학다식이다. 괴짜라는 비난을 받으면서도 호기심과 상상력으로 세상을 놀라게 한 스티브 잡스나 일론 머스크도 폴리매스라 부를 만하다.

인재상은 시대에 따라 바뀌기 마련이다. 현대사회는 글로벌한 사회이면서 다문화의 사회다. 인공지능 기술 발달로 웬만한 지식은 암기할 필요가 없는 사회이기도 하다.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단순 지식이 아닌 융합적 이해와 사고력이 중요한 요건이 될 수밖에 없다. 잡스나 머스크 같은 폴리매스가 우리 교단에 많을수록 교실은 펄떡거리지 않을까. 재능이나 배움에 대한 열정이 부족한 학생들조차 영감이 샘솟는 기쁨을 만끽하도록 할 이런 폴리매스가 더 많아지길 빌어 본다.

박현갑 논설위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