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칼럼] 안심하고 마시는 수돗물 만들려면

2023. 10. 16. 17: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수돗물의 품질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우수하다. 그런즉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하기에도 전혀 문제 될 것이 없다.

하지만 정작 우리 국민의 수돗물 직접 음용률은 유럽연합(EU) 국가들의 평균 74%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평균 51%에 한참 밑도는 5% 수준에 머물고 있는 반면에 수도꼭지 필터 사용 가구는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2019년에 발생한 인천에서의 붉은 물 사태는 역설적으로 전국의 어느 도시에서도 그와 유사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환경부는 2021년 2월에 '10년 주기 상수도관 세척 의무화 고시'를 제정하여 연차별로 관 세척 시행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다. 문제는 과연 '어떻게 수돗물에 대한 국민적 인식을 높일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이다. 이상적인 해법은 지자체 전체의 수계별 배수지관에 대해 블록 또는 급수구역 단위로 연이어 일괄 세척을 실시하는 것이다. 세척 의무화 고시에 따른 10년에 걸친 연차별 세척으로는 수돗물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근원적으로 해소시키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일괄 세척을 가정하면 적용 공법과 동원되는 자원의 양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블록 한 개당 3일간의 작업을 기준으로 할 경우 인구 9만4000명에 40개 블록이 구축돼 있는 경북 상주는 약 4개월, 인구 34만명에 69개 블록이 구축돼 있는 충남 아산은 약 7개월 만에 도시 전체의 상수도관을 세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주민들의 수돗물 음용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일괄 세척에 따른 예산 마련은 곧 지자체장의 의지와 연동된다고 할 수 있는데, 자체적 예산 편성에 어려움이 있다면 '지역개발기금'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주민들이 수돗물보다 500배 이상 비싼 생수나 정수기 물에 많은 가계비를 지출하고 있는 현실을 계속 방치하는 것도 큰 잘못이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상수도관 세척은 이물질 제거가 주된 목적이기도 하지만, 장기간 이물질을 제거해주지 않으면 민원은 반복되고 궁극적으로 10배 이상의 엄청난 비용과 여러 주민 불편이 초래되는 관 교체 작업을 해야 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도 시급히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

[이민세 前 영남이공대 교수]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