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고양이마다 다르게…반려동물 ‘맞춤형 보험’ 상품 만든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년부터 반려동물의 종과 연령에 따라 다른 맞춤형 보험상품이 등장할 전망이다.
대부분의 보험상품 구조가 비슷한 지금과 달리 소비자가 각자의 반려동물 특성에 맞는 상품을 선택해 가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험상품 개발을 위해서는 동물과 질병의 특성에 따라 다른 진료 통계가 충분히 쌓여야 하는데, 지금은 이를 위한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년부터 반려동물의 종과 연령에 따라 다른 맞춤형 보험상품이 등장할 전망이다. 대부분의 보험상품 구조가 비슷한 지금과 달리 소비자가 각자의 반려동물 특성에 맞는 상품을 선택해 가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진료 통계가 충분히 확보돼야 하는 만큼 관련 인프라가 성공적으로 마련될지 관심이 쏠린다.
금융위원회는 16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반려동물보험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관련 인프라가 부족해 해당 보험산업의 발전이 더디고, 이에 따라 보험 가입률도 1% 수준에 그쳐 소비자들의 치료비 부담이 크다는 문제의식에 따른 조처다. 국내 800만마리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 반려동물의 보험 제도 개선은 이번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다.
일단 관계부처와 함께 보험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보험상품 개발을 위해서는 동물과 질병의 특성에 따라 다른 진료 통계가 충분히 쌓여야 하는데, 지금은 이를 위한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먼저 개체 식별을 위해 반려동물 의무등록 대상에 현행 반려견뿐 아니라 반려묘까지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동물병원의 진료 증빙서류 발급 의무화와 진료항목 표준화도 추진한다. 보험금 지급 기준을 협의하고 통계를 공유하기 위해 보험업계와 수의업계 간 협력체계도 운영하기로 했다.
업계에서도 통계 인프라 구축이 얼마나 원활하게 진행될지 주목하고 있다. 통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채로 보험 가입이 늘면 자칫 손해율(납입보험료 대비 지급보험금의 비율)이 치솟을 위험이 있는 탓이다. 현재 수의업계는 진료 증빙서류 발급 의무화 등에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상훈 금융위 보험과장은 “수의업계와 보험업계의 협업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마련된 통계 등을 토대로 맞춤형 보험상품 개발을 활성화한다. 지금도 손해보험사 11곳이 이른바 ‘펫보험’을 판매하고 있지만, 관련 통계와 정보가 부족한 탓에 보장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은 편이다. 상품 구조도 보험사마다 비슷하다. 금융위와 금융권은 내년 1분기께 반려동물의 연령이나 종, 질병 특성을 반영해 보장범위와 보험료를 다양화한 상품을 출시하기로 했다. 이런 상품 개발에 탄력을 주기 위해 반려동물 전문보험사 진입도 허용한다.
반려동물 보험 가입과 보험금 청구의 편의성도 개선한다. 일단 동물병원이나 펫샵에서 단기보험뿐 아니라 장기보험(3∼5년)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수의업계와 협의를 거쳐 소비자가 비대면으로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는 시스템도 내년 하반기 이후에 마련하기로 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김기현 “당정대 관계, 당에서 주도”…태도 돌변에 당내선 의구심
- “김기현 대표 쫓겨나겠네ㅜㅜ” 카톡 노출 김성호 여연 부원장 사임
- “검찰 ‘이재명 잡기’ 집단최면 수준”…20년 역량 총동원 결말은
- 방심위, 중징계 연타…‘뉴스타파 인용보도’ MBC 등에 과징금
- 이집트 ‘5000년 된 와인’ 밀봉된 채 발견…레드? 화이트?
- [영상] 울먹인 이준석 “윤 대통령 안 바뀌면 총선 진다”
- ‘다중채무자’ 450만명 역대 최대…48만명, 소득 70% 빚 갚는다
- 이스라엘 힘 빼는 ‘제2전선’ 만들기…이-헤즈볼라 충돌
- 2025학년도 의대 1천명 더…정원 늘린다는 정부에 의사들 반발
- 서울지하철 1~8호선 다음달 파업 수순…“인력 감축은 안전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