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테크는 '미래 먹거리'…美·EU·中 앞질러 초기시장 선점"

조민정 2023. 10. 16. 16: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이를 상업화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 열렸다.

'기후테크' 시장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미국과 중국, 유럽 등 선도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기업 성장은 매우 더딘 상황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6일 대한상의, 2023 기후테크 포럼 개최
탄소배출 줄이는 기술…두 마리 토끼 잡는 시장
韓 기술, 주요국 대비 70% 불과…"지원 다각화"

[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기후위기 대응은 더이상 선택이 아니고 필수입니다. 기후테크는 전 세계적으로 5년 사이 8배 증가했는데 애매한 기술노력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한 뒤 사업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이를 상업화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 열렸다. ‘기후테크’ 시장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미국과 중국, 유럽 등 선도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기업 성장은 매우 더딘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민관 협력으로 관련 규제를 완화해 기후테크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을 키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수종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가 16일 오후 대한상의 회관에서 열린 ‘2023 기후테크 포럼’에 참석해 발표하고 있다.(사진=조민정 기자)
대한상공회의소는 16일 오후 상의회관에서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 서울대학교 기후테크센터와 공동으로 ‘2023 기후테크 포럼’을 열었다. 기후테크 관련 투자와 시장을 확대하고 산업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올해 처음 개최됐다.

기후테크는 탄소 배출을 줄이고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모든 혁신기술을 뜻한다.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부터 기후 예측, 친환경 재활용 기술, 배양육과 조리로봇 등 푸드테크까지 영역이 다양하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1억 달러의 상금을 걸었던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기술도 기후테크의 대표적 사례다.

미국과 유럽, 중국의 기후테크 투자가 늘면서 관련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블룸버그에 따르면 기후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는 2021년 537억 달러(72조 7635억원)로 2016년 66억 달러(9조원)에 비해 8배 가까이 늘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2050년까지 기후테크 글로벌 누적 시장규모가 45~60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정수종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미국의 전설적인 벤처투자가 존 도어는 기후테크의 기술발전과 인재양성을 위해 스탠포드 대학에 11억달러(1.4조원)를기 기부했다”며 “스위스에 설립된 클라임웍스(Climeworks)는 유럽을 대표 기업인데 최근 미국에서도 대규모로 투자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생태자원을 보호하면서 온실가스를 줄이는 ‘완화와 적응’을 함께 고려하는 게 세계적인 추세”라고 설명했다.

기후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
다만 미국과 중국, 유럽 등과 비교해 국내 기후테크 시장은 비교적 미미한 상황이다. 오늘날 기업가치가 1조원 이상인 글로벌 기후테크 유니콘 기업은 83곳이나 되지만 우리나라 기업은 없다. 전문가들은 △낮은 기술 수준 △투자성과 미흡 △시장진출 난항 △정책기반 미미 등을 지적하며 초기시장을 선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수경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기술과장은 “기후테크 시장은 제조업 등 다른 산업에 비해 성장 속도가 빠른 편인데 국내 기술 수준은 선도국 대비 70~80%에 불과하다”며 “새로운 산업에 대한 관련 규제, 제도 개선이 발 빠르게 이뤄지지 않는 상황을 개선하고 기후테크 강국으로 갈 수 있도록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30년까지 기후테크 유니콘 기업 10개를 육성하고, 수출규모를 23조 3481억원에서 100조로 확대할 방침이다. 기후테크 산업이 커지면 신규일자리 창출로 자연스럽게 이어져 2030년엔 10만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16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열린 2023 기후테크 포럼에서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오른쪽 여섯 번째)과 김상협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공동위원장(왼쪽 여섯 번째), 정수종 서울대 기후테크센터장(왼쪽 다섯 번째)이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사진=대한상의)

조민정 (jju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