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마지막 무동'이 남긴 악기·대본…기증 자료집 발간

김예나 2023. 10. 16. 09:5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의 마지막 무동(舞童)'으로 불린 고(故) 김천흥(1909∼2007) 선생의 삶과 예술세계를 보여주는 자료집이 나왔다.

국립무형유산원은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처용무 명예보유자를 지낸 김천흥 선생의 유족이 기증한 자료를 정리한 '문화유산 기증 자료집'을 펴냈다고 16일 밝혔다.

고 김천흥 보유자는 전통 무악(舞樂)의 보존과 재현에 큰 역할을 한 예술인이다.

이번 자료집은 평생 음악과 춤에 헌신했던 그의 삶을 다각도로 보여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무형유산원, 고(故) 김천흥 기증 자료 1천186건 정리
'조선시대 마지막 무동' 김천흥 선생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조선의 마지막 무동(舞童)'으로 불린 고(故) 김천흥(1909∼2007) 선생의 삶과 예술세계를 보여주는 자료집이 나왔다.

국립무형유산원은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처용무 명예보유자를 지낸 김천흥 선생의 유족이 기증한 자료를 정리한 '문화유산 기증 자료집'을 펴냈다고 16일 밝혔다.

고 김천흥 보유자는 전통 무악(舞樂)의 보존과 재현에 큰 역할을 한 예술인이다.

김천흥의 해금 [국립무형유산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그는 일제강점기였던 1922년 13살때 왕립음악 기관이자 국립국악원의 전신인 이왕직아악부 산하 아악부원양성소에 들어가 궁중 음악과 무용을 배웠다.

이듬해 순종(재위 1907∼1910)의 50세 경축 연회에서 무동으로 뽑혀 춤 솜씨를 선보이면서 '조선의 마지막 무동'으로 널리 알려지게 됐다.

이후 그는 승무와 살풀이춤 등 민속 무용을 섭렵하고 전국 각 지역 탈춤을 발굴해 연구·조사하는 등 우리 전통무용과 국악을 보존하고 옛 모습을 재현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김천흥의 '처용탈' [국립무형유산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자료집은 평생 음악과 춤에 헌신했던 그의 삶을 다각도로 보여준다.

1920∼1930년대 이왕직아악부에서 활동하던 시절 사진을 비롯해 그가 직접 사용했던 악기, 춤 동작을 그림으로 작성한 친필 무보(舞譜) 등 1천186건을 소개한다.

그가 직접 대본을 쓰고 안무를 구성해 1959년에 초연한 '처용랑'의 대본과 공연 사진 등은 전통음악과 춤을 바탕으로 한 기존 작품과 다른 무용극을 보여주고자 한 시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자료집은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누리집(www.iha.go.kr)에서 볼 수 있다.

무보(舞譜) 제작용 도장 [국립무형유산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