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ㅇㅇ시죠?, 검찰청입니다”…딸내미 전화 줄고 ‘기관사칭’ 보이스피싱 폭증

류영상 매경닷컴 기자(ifyouare@mk.co.kr) 2023. 10. 16. 08: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 연합뉴스]
최근 가족이나 지인 사칭 보이스피싱이 감소한데 반해 정부 기관 등을 사칭한 사례가 폭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피해 폭증에도 환급액은 6년간 30%, 지난해에는 고작 13%에 불과한 실정이다.

16일 국회 강민국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올해 7월까지 발생한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은 2만550건에 달했다. 피해액은 4143억원이다. 더욱이 올해에만 2506건(343억원)의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이 발생했다.

2021년에 912건(171억원), 지난해 1310건(213억원) 규모로 발생했던 것을 고려하면 증가세가 뚜렷하다.

이와 반대로 지인 사칭형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2021년 991억원, 지난해 927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320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대출 빙자형은 2021년 521억원, 지난해 311억원, 올해 상반기 241억원으로 집계됐다.

기관 사칭형 발생 건을 분석해보면, 검찰·경찰·법원을 사칭한 경우가 1만6008건(34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10건 중 8건 이상이 검찰이나 경찰, 법원 행세를 한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을 사칭한 경우가 많았다. 금융당국인 것처럼 연락해 돈을 요구한 경우는 1781건(55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외 시중은행(146건·22억원), 우체국·택배회사(254건·145억원) 등을 사칭한 경우들도 있었다.

심각한 문제는 피해액 중 돌려받는 금액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6년간 기관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금 중 환급액은 1242억원으로, 환급 비중은 30%에 그쳤다. 그마저도 2020년 64.5%(267억원), 2021년 25.1%(43억원), 2022년 13.3%(28억원)로 급감하고 있다.

특히, 대부업체(9건·8억원)와 금융지주회사(4건·1억원), 저축은행(7건·1억원 미만)의 경우 환급된 금액은 0%에 불과했다.

강민국 의원은 “금감원은 그동안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을 위해 보도자료 배포와 소비자경보 발령 등의 단순 홍보에만 집중해 왔다”며 “이 결과 올해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폭증이라는 현실을 마주케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기존 홍보에서 탈피해 TV 공익광고와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소개하는 등의 홍보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특단의 대책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