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떠나는데…개미까지 증시서 등 돌리나

김인경 2023. 10. 16.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외국인이 코스피를 15거래일 연속 팔며 국내 증시와 거리를 두는 가운데 개인투자자들의 수급도 약해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고금리와 달러 강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등을 외국인의 수급이 약해지는 가운데 개인투자자들의 투심마저 쪼그라들고 있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고금리가 장기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며 2차전지와 IT 등 성장주의 주가가 꺾이기 시작한 만큼 개인투자자들의 기대 수익률도 낮아질 수밖에 없는 국면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달 코스피 일 평균 거래대금 8.6조원…7월 대비 38.9%↓
예탁금도 4거래일 연속 50조원 하회
고금리·고환율에 외국인 떠나는데 개인 심리도 '싸늘'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외국인이 코스피를 15거래일 연속 팔며 국내 증시와 거리를 두는 가운데 개인투자자들의 수급도 약해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내년 초까지 코스피가 지지부진할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15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10월 코스피의 일 평균 거래대금은 8조6641억6200만원으로 집계됐다. 9월(8조3379억원)보다 소폭 늘었지만 2차전지 열풍이 한창이던 7월(14조1901억원)과 견주면 38.9% 줄어든 수준이다. 코스닥의 일 평균 거래대금은 이달 7조81억원으로 4개월 만에 10조원 아래로 내려왔다. 올 1월(6조1730억원) 이후 최저수준이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고금리와 달러 강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등을 외국인의 수급이 약해지는 가운데 개인투자자들의 투심마저 쪼그라들고 있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외국인의 빈 자리를 개인의 수급이 채우며 테마주 장세가 이어졌던 상반기와는 다른 흐름이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인 것. 고금리가 장기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며 2차전지와 IT 등 성장주의 주가가 꺾이기 시작한 만큼 개인투자자들의 기대 수익률도 낮아질 수밖에 없는 국면이다.

이미 예탁금이 쪼그라들고 있다. 12일 기준 예탁금은 49조990억원으로 4거래일 연속 50조원을 밑돌고 있다. 한 달 전(51조49억원)보다 3.7% 줄었고, 7월 말(55조9865억원)과 견주면 약 7조원이 감소한 것이다. 예탁금은 주식 투자를 위해 투자자들이 증권사 계좌에 맡겨두는 자금으로 주식 투자심리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고 있있다.

문제는 개인 투심을 회복할 모멘텀마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삼성전자와 LG에너지솔루션 등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의 3분기 실적이 개선을 나타내며 실적에 대한 기대가 커졌지만 이마저도 일부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다.

조재운 대신증권 연구원은 “작년 4분기를 저점으로 상장사들의 실적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하반기 들어 대내외 리스크가 부각하며 실적 증가율은 다소 둔화할할 전망”이라며 “중국 경기 부진, 금리 상승, 수출 및 내수 부진 등 대내외 요인이 하반기 실적에 대한 눈높이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코스피의 기둥인 ‘반도체’ 업황에 대한 우려도 여전하다. 삼성전자는 3분기 잠정 영업이익이 2조4000억원에 달했다고 밝히며 시장 기대치를 12.44% 웃도는 수준의 호실적을 발표했다. 하지만 미국의 고금리와 수요 회복세의 둔화 등으로 업황 회복 강도는 시장 예상보다 느슨할 것이라는 평가다. 이미 삼성전자의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3조6576억원으로 한 달 전(4조4040억원)보다 16.9% 감소했다.

이에 따라 당분간은 신중하게 증시에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는다. 박소연 신영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경기회복 자체는 강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채권 금리도 내년 2분기 이후 하향 안정화되겠지만 장기 금리의 구조적 상승 요인은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인경 (5tool@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