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평상은 부서지고 글씨는 국적불명… 해외에 방치된 'K-가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 세계 17개국에 조성된 'K-가든(한국정원)'이 산림청의 무관심 속에 사실상 방치돼 온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 등을 위해 한국정원을 만들어놓고선 조성 이후 사후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다.
그러면서도 산림청은 실태조사 2년 뒤인 2017년 '제2차 정원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국외 K-가든 조성 및 해외 한국정원 유지관리'를 13개 중점과제 중 하나로 선정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림청 사후관리 부실로 흉물 전락 우려
윤준병 민주당 의원 "국가 이미지에 먹칠"
전 세계 17개국에 조성된 'K-가든(한국정원)'이 산림청의 무관심 속에 사실상 방치돼 온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 등을 위해 한국정원을 만들어놓고선 조성 이후 사후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다. 훼손된 한국정원을 방치할 경우 오히려 국가 브랜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해외 한국정원 내역 및 관리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시설물 훼손 등으로 '관리 시급' 판정을 받은 곳은 총 4곳(독일 2곳·파라과이·이집트)으로 파악됐다. 이곳들은 평상이 부서져 안전 문제를 지적받거나 애초 현판 자체에 '품위가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 외 시설 노후 등으로 보수·복원이 필요하다고 판정받은 정원도 6곳(프랑스·미국·이란·일본·중국·태국)이었다. 전체 관리 대상인 29곳 중 당장 보수가 필요한 곳이 10곳(34%)에 달한다. 면적으로 따지면 축구장(7,100㎡)의 6배 규모다.
그럼 보수는 제대로 됐을까. 안타깝게도 현재까지 10곳 중 2곳(독일·파라과이)만이 산림청(산하기관 포함)의 손길이 닿았다. 그마저 독일 사례는 2015년 '관리 시급' 판정을 받은 이후 대형 화재가 발생하자 2019년이 돼서야 뒤늦게 수리를 완료했다. 파라과이 사례는 2015년 '관리 시급' 판정을 받은 지 7년이 지나서야 산림청 산하기관에 의해 수리가 완료됐다. 나머지 8곳은 여전히 방치 중이다.
더 큰 문제는 2015년 실시된 실태조사가 처음이자 마지막 조사였다는 점이다. 시설 노후로 인해 보수 대상 정원이 더 늘어났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산림청은 '조성 주체로부터 정원 관리나 보고를 받는 주기가 있느냐'는 윤 의원실 질의에 "없다"고 밝혔다.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는 얘기다. 그러면서도 산림청은 실태조사 2년 뒤인 2017년 '제2차 정원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국외 K-가든 조성 및 해외 한국정원 유지관리'를 13개 중점과제 중 하나로 선정했다.
윤준병 의원은 "한국정원은 우리의 문화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인데, 심각한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한국정원이 훼손된 채 방치되고 있는 것은 국가 이미지에 먹칠을 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김정현 기자 virtu@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날씨 때문에 지상군 투입 미룬 이스라엘...당나귀 수레 타고 피신하는 가자 주민들
- 박수홍 부친 "재산 함부로 안 썼다...횡령 아니라 비자금 만들어준 것"
- '나는 솔로' 16기 옥순, 영숙 고소 취하하나…"사과 바라지 않아"
- 5000발 소낙비에 뚫렸는데…북한 1만6000발 쏘면 '한국형 아이언 돔' 대응 가능할까
- '뉴스룸' 송중기 "아내와 씩씩하게 아들 육아 중, 입술 닮았다고"
- 손헌수, 오늘 장가간다… 주례 이홍렬·박수홍은 축사
- "한국 은혜 잊지 않겠습니다" 이스라엘 수송기에 일본인 태워오자 벌어진 일
- 이재은 "집안 빚 때문에 성인영화 출연, 아버지 오해한 것 후회돼"
- '독박 총무' 그만! 친구·가족·연인끼리 안 싸우는 돈 관리법
- 성공할 '뻔' 했던 은행강도… 그러나 치밀함은 국제공조를 이기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