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100만명 붕괴 위기…비수도권 특례시 사라지나

김정훈 기자 2023. 10. 15. 20: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8월 기준 101만명대…2년 연속 100만명 미만 시 특례시 박탈
시, 인구 사수 전력에도 직업기회·주거 등 이유 청년층 이탈
화성시는 2025년쯤 출범 예정,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 심화
2022년 1월13일 스포츠파크 창원체육관에서 열린 창원특례시 출범식. 창원시 제공

경남 창원시가 ‘인구 100만 특례시’ 유지를 위해 인구 사수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2025년쯤 인구 100만명대가 붕괴될 것으로 예상된다. 창원시는 비수도권 유일한 특례시이지만 청년 유출이 계속되고 있는 탓이다.

창원시는 지난해 1월13일 경기 수원·용인·고양과 함께 특례시로 출범했다. 반면 경기 화성시는 2025년쯤 특례시 입성을 눈앞에 두고 있어 특례시도 수도권 쏠림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을 보면 지난 8월 말 기준 창원시 주민등록인구는 101만2410명이다. 2010년 7월 창원·마산·진해 통합창원시 출범 당시(108만1808명)보다 6만9398명 감소한 규모다. 통합 이듬해 창원 인구는 109만1881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12년 만에 7만9471명이나 줄었다.

이러한 감소 추세가 계속되면 창원시는 2025년부터 특례시 지위를 상실할 위기에 놓인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보더라도 창원시 인구는 한 해 6000~7000명 줄어 2025년 99만5323명, 2026년 98만7936명으로 축소된다. 15년 후인 2038년에는 89만3480명으로 90만명대도 무너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행 지방자치법은 전년도 인구가 2년 연속 100만명 미만이면 특례시 지위를 박탈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특례시 지위 유지 기준에 외국인 인구(1만9010명)를 포함하더라도 창원시는 2028년쯤 탈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창원시는 100만 인구 유지를 위해 출산·보육, 청년일자리, 주거, 교육, 노후, 인구대응 등 6개 부문에서 146개 세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구정책 홈페이지(changwon.go.kr/ingu)를 통해 ‘청년 월세 지원’ 등 정책도 소개하고 있다.

행정조직도 여러 차례 개편했다. 2017년 7월 기존 기획담당관에 지역인구정책팀 신설, 2022년 1월 인구청년담당관 신설, 2022년 10월 정책기획관에 인구정책팀 개편, 지난 7월 인구정책담당관 신설을 통해 인구 사수에 진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인구는 계속 줄고 있다.

창원시 인구 감소는 청년 유출과 고령화 등이 주원인으로 꼽힌다. 창원시정연구원이 지난 4월과 9월 각각 발표한 ‘창원시 정주여건 분석과 인구전략’ 및 ‘창원 이슈와 정책’ 보고서를 보면 청년층 감소와 고령화는 가속화하고 있다. 창원 노인부양비의 경우 생산가능인구(15~64세) 100명이 2010년에는 노인층(65세 이상) 10.7명을 부양했지만 2040년에는 68.3명을 부양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구조도 변하고 있다. 창원시 청소년층(0~18세)은 2010년 28만2721명에서 올해 7월 16만6226명으로 41.2%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노인층은 8만8196명에서 17만4514명으로 97.9% 증가했다.

청년 유출은 취약한 정주여건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올해 1~2월 관내 만 19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청년들은 직업기회·주거·문화환경 불충분, 돌봄체계 부족, 고등교육·평생직업교육에 효과적 역량형성체제 부재 등을 이유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고 싶다고 밝혔다.

구본우 창원시정연구원 창원학연구센터장은 “제조업 위주의 창원산업을 연구·개발(R&D) 및 정보기술(IT) 산업 등으로 고도화하고, 고급인력 양성교육 활성화, 비싼 집값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창원시와 창원시정연구원은 지난 8월 ‘5개년 인구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열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창원시는 의견을 종합해 인구정책 기본계획을 이달 중 확정할 방침이다. 창원시 관계자는 “임시방편보다는 지속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인구정책 관련 사업을 정비하고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정훈 기자 jhk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