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이라도 더”···‘선 긋기’ 멈추고 눈감은 단색화의 거장 박서보
생의 마지막까지 “캔버스에 한 줄이라도 더 긋고 싶다”고 했던 박서보 화백이 붓을 놓았다. ‘묘법’ 연작으로 유명한 ‘단색화의 거장’ 박서보(본명 박재홍) 화백이 지난 14일 별세했다. 향년 92세.
박 화백은 무수히 많은 선을 긋는 ‘묘법(escrite)’ 연작으로 단색화의 대표 화가로 불리며 한국 현대 추상미술 발전을 이끌었다.
지난 2월 박 화백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직접 폐암 3기 판정을 받은 사실을 알리며 “캔버스에 한 줄이라도 더 긋고 싶다. 작업에 전념하며 더 의미 있게 시간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투병 중에서도 그림 작업을 지속했지만 병마를 이기지 못하고 ‘선 긋기’를 멈추고 말았다.
박 화백은 1931년 경북 예천에서 태어나 홍익대 서양학과를 졸업했다. 한국 현대 추상미술의 길을 여는 데 선구자적 역할을 했다. 1956년 원로작가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수상작이 안배되는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환멸을 느끼고 국전에 반대하는 독립전시를 감행한 ‘반국전 선언’의 주역이었으며, 1957년 국내 최초의 앵포르멜 작가로 한국 현대미술사에 각인됐다.
‘단색화’는 박서보와 동의어다. 1970년대부터 단색화의 기수로 독보적인 작품 세계를 선보여왔다. 1967년 시작한 묘법 작업은 연필로 끊임없이 선을 긋는 전기 묘법시대(1967~1989)를 지나 한지를 풀어 물감을 갠 것을 화폭에 올린 뒤 도구를 이용해 긋거나 밀어내는 방식으로 작업한 후기 묘법시대, 2000년대 들어 자연의 생생한 색을 쓴 유채색 작업까지 변화해왔다.
“나에게 있어서 그림은 수신을 위한 수단이며 도구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그 도구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수신의 결정체일 수도 있습니다.”
박 화백은 2001년 칠순을 맞아 화집을 발간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하루 14시간 이상 작업에 몰두하며 그림을 통해 ‘수신’했으며 자기 안에 갇히지 않고 변화를 거듭했다. “변화하지 않으면 추락합니다. 타자와 다를 때 예술은 삶을 얻는 것 같습니다. 남과 다르기 위해 수없는 고통과 아픔의 시간들을 경험하는 것이겠지요.” 박 화백은 “그림은 치유의 도구가 되어야 한다”며 예술의 치유적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박 화백은 세계적 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미국 뉴욕현대미술관과 구겐하임미술관, 프랑스 파리의 퐁피두 센터, 일본 도쿄의 현대미술관 등 세계 유명 미술관이 그의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2021년 프랑스의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이 한국 작가로는 처음으로 박 화백의 작품을 이용한 핸드백을 내놓기도 했다. 박 화백의 그림은 지난해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에서 작가별 낙찰 총액 3위에 올랐다.
평전 <박서보:단색화에 닮긴 삶과 예술>의 저자 케이트 림은 “한국 현대미술계에서 박 화백만큼 강도 높게 비판받은 작가도 드물다”고 말했다. 1970년대 군사독재 상황에서 박 화백을 필두로 한 단색화 화가들이 ‘침묵’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지난 4~7월 열린 광주비엔날레에서 ‘박서보예술상’을 신설했으나 반대에 부딪혀 상이 폐지되는 곡절도 있었다. 미술계 파벌이라 비판받는 ‘홍익대 사단’의 핵심 인물로 불리기도 했다.
케이트 림은 “1970년대 박정희 정권 시절 정치 현실에 대하여 정치적 저항을 했는지 안 했는지를 근거로 박서보의 예술을 분석하려는 것은 오로지 하나의 정치적 문맥에서 예술을 재단하는 협소한 비평”이라고 말했다.
정준모 미술평론가는 “군사독재 시절 민중미술과 순수미술의 대립 양상이 펼쳐지면서 ‘순수미술’의 대표적 인물이라 할 수 있는 박서보 화백에 대한 프레임이 씌워졌다”며 “이념적으로 대립했던 한국 미술계의 일종의 상처 같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평론가는 “예술가로서뿐 아니라 교육자로서 제자들을 양성하고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한국 현대미술을 전 세계에 알린 작가”라고 말했다.
박 화백은 후학 양성에 힘쓴 교육자이자, 미술 행정의 기초를 닦은 미술행정가이기도 했다. 1997년까지 모교인 홍익대에서 후학을 양성했으며 홍익대 미대 학장과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등을 지냈다. 국민훈장 석류장(1984년)과 옥관문화훈장(1994), 은관문화훈장(2011), 금관문화훈장(2021) 등을 받았고 제64회 대한민국 예술원상을 받았다.
박 화백의 별세 소식에 미술계에선 추모의 메시지가 쏟아졌다. 단색화를 해외 미술계에 알리는 데 앞장선 국제갤러리의 이현숙 회장은 “박 화백은 단색화의 거장이자 한국 미술계의 거목이었다. 그가 온 생애를 바쳐 치열하게 이룬 화업은 한국 미술사에서 영원히 가치 있게 빛날 것”이라고 애도했다. 1992년 박 화백의 전시를 처음 연 이래 14번에 걸쳐 가장 많은 개인전을 진행한 부산의 조현화랑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예술가이자 교육자로서 많은 후배에게 길을 열어주고자 했던 작가”라며 “외롭고 고단했던 시간과 한국 현대미술의 새로운 전형을 만들고자 했던 투쟁의 역사를 잊지 않겠다”고 추모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윤명숙씨와 2남1녀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17일 오전 7시.
https://www.khan.co.kr/culture/art-architecture/article/201905211117001
이영경 기자 samemind@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석열 대통령은 남은 임기 절반 채울 수 있을까
- “이러다간 또 탄핵”… 신용한이 인수위를 떠난 까닭
- [스경X이슈] 김광수 vs 티아라 화영, 진짜 싸움 시작인가…12년 전 왕따 사건 ing
- 유승민 “역시 ‘상남자’···사과·쇄신 기대했는데 ‘자기 여자’ 비호 바빴다”
- ‘만선의 비극인가’…금성호, 너무 많은 어획량에 침몰 추정
- “머스크가 최대 수혜자?”…트럼프 당선에 테슬라 시총 1조 달러 돌파
- 북한, GPS 교란 도발…선박·항공기 등 운항 장애 발생
- 로제 ‘아파트’ 영국 싱글 차트 3주 연속 최상위권
- 억대 선인세 받고 영국서 출판되는 ‘K-라면’ 에세이
- 때로는 익숙한 풍경이 더 눈부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