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이야기 레고로 세계에 알릴 것"

박재영 기자(jyp8909@mk.co.kr) 2023. 10. 15. 17: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레고 아티스트 콜린진
장난감 회사 세운 아버지에게
레고 선물받아 '덕질' 시작해
최근 국내 첫 전시회 개최
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 재현
"정조 화성행궁 행차 선보일것"
레고 아티스트 콜린진이 레고 블록으로 재현한 조선시대 종묘제례악.

"프랑스 에펠탑이나 중국 만리장성, 일본 히메지성을 재현한 레고가 판매되고 있잖아요. '한국의 아름다움을 다룬 레고는 왜 없을까'라는 생각에 작품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레고 아티스트 콜린진(본명 소진호)은 레고 블록으로 한국의 문화유산을 재현한다. 국가 무형문화재 1호이자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종묘제례악을 레고로 형상화한 건 그가 처음이다. 지난 11일 첫 단독 전시회 '콜린진의 역사적인 레고'를 개최한 소진호 씨를 매일경제가 인터뷰했다.

소씨가 태어난 1974년, 그의 아버지는 장난감 회사인 한립토이스를 설립했다. 자석 낚시 놀이 장난감으로 잘 알려진 회사다. 소씨는 "출장을 다녀오신 아버지의 커다란 여행 가방 안에는 장난감 박스들이 가득했다"며 "어려서부터 신기한 장난감을 갖고 놀 수 있었던 건 행운"이라고 말했다.

수많은 장난감 중에서 특히 그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은 레고였다. 레고 '덕질'(관심 분야에 심취해 파고드는 일)은 성인이 되어서도 이어졌다. 특히 고가로 알려진 레고 스타워즈 시리즈에 심취했다. 그는 "한때는 월급의 절반 이상을 탕진할 정도로 레고 수집에 빠졌었다"고 회상했다. '덕질의 끝은 자작'이라는 말이 있다. 소씨도 직접 설계한 자신만의 레고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는 "매번 조립 설명서를 보고 따라 만들다 보니 나중엔 뻔하고 재미없게 느껴졌다"며 "처음엔 아이를 위해 필통이나 볼펜 같은 문구류를 직접 디자인해 만들어줬다"고 답했다.

레고로 한국의 문화유산을 만들자고 결심한 것은 2012년, 레고가 탄생한 덴마크의 황태자 부부가 방한했을 때다. 소씨는 "당시 방한을 기념해 숭례문을 재현한 레고 제품이 출시됐는데 우리나라의 전통과 미학을 제대로 담지 못한 디자인을 보고 실망했다"며 "이마저도 금방 단종되는 것을 보면서 내가 직접 한번 만들어 보기로 마음먹었다"고 말했다.

그의 대표 작품은 무형문화재인 종묘제례악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다른 작품들도 학춤이나 판소리, 승무 등 '사람 냄새'가 나는 것들이다. 소씨는 "레고에서 출시한 상품이나 다른 레고 아티스트들이 만든 작품들을 보면 대부분 건축물이나 비행기, 로봇 같은 것들"이라며 "제가 레고를 통해 궁극적으로 표현하고 싶은 건 '사람'과 그들의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종묘제례악은 조선왕조의 국왕과 왕후를 기리는 음악과 노래, 무용이 어우러진 종합 예술 행사"라면서 "수십 명의 사람들이 알록달록한 옷을 입고 참여하는 예술 행위를 보면 아이들과 외국인도 '이 사람들은 왜 이러고 있지?'라는 호기심이 생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덴마크에서 만들어진 레고로 한국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은 만만한 작업이 아니다. 특히 직각 블록으로 한국적인 곡선의 미를 표현하기는 더욱 어렵다. 소씨는 "대학에서 전공한 토목공학 지식이 도움이 됐다"며 "교량 등을 만들 때 적용되는 아치형 구조가 한복 옷깃의 곡선을 표현하는 데 안성맞춤이었다"고 설명했다. 소씨의 다음 목표는 정조의 화성행궁 행차를 레고로 재현하는 것이다. 그는 "공식 수행원만 1700여 명이었던 행사라 작품 제작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이라면서도 "그 안에 담긴 한국의 미와 사람들의 이야기를 레고로 형상화할 생각에 벌써 가슴이 뛴다"고 말했다.

한국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레고로 표현한 콜린진 전시회는 매일경제 유튜브에서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박재영 기자 / 사진 이승환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