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는 왜 서북공심돈을 자랑했을까? [이강웅의 수원화성이야기]
화성에는 독특한 외형의 시설물이 여럿 있다. 그중 공심돈이 으뜸이다. 동북공심돈과 서북공심돈은 화성 상징의 모티브이기도 하다. 또 수원특례시의 상징처럼 독창적인 매스(Mass)를 갖고 있다. 공심돈이란 무엇일까?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성서에 “벽돌로 3면을 쌓고 그 가운데를 비워둔다. 그 가운데를 2층으로 구분해 널빤지로 누를 만들고 나무 사닥다리를 이용하며, 위아래에 구멍을 많이 뚫어 바깥을 엿보는 데 편리하게 한다. 불랑기, 백자총들을 발사해도 적으로서는 화살이나 총탄이 어느 곳에서부터 날아오는지 모르게 돼 있다”고 기록했다.
기록을 분석해 보면 첫째, 화성의 시설물 중 가장 높아 문을 좌우에서 호위하는 적대와 같은 역할을 하고 둘째, 벽에 구멍을 내고 마루를 깔아 대포를 배치해 포루(대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셋째, 맨 위층에 집을 지어 병사를 보호하면서 적의 동태를 살필 수 있으므로 포루(군졸)의 역할도 한다. 한마디로 다목적 군사시설이다.
화성에는 서북공심돈, 남공심돈, 동북공심돈 세 곳의 공심돈이 있다. 그중 남공심돈에 대해 의궤는 “남암문 동치 위에 있다. 제도는 모두 서북공심돈과 같으나 작다”라고 했다. ‘제도가 같다’란 의미는 시스템, 형상, 기능 등이 같다는 의미이지 규격까지 모두 똑같은 것은 아니다.
제도가 같다고 했지만 필자가 보기에 가장 큰 차이점은 서북공심돈은 치와 같은 면으로 연속해 공심돈을 올렸으나 남공심돈은 치 위에서 4면을 모두 3척씩을 안쪽으로 들여 공심돈을 세운 점이다. 즉, 치 위에 3척씩 공간을 두고 안쪽에 공심돈을 올린 것이다. 남공심돈의 이런 계획은 정조의 뼈아픈 실책이며 남공심돈은 화성에서 최대의 실패작이 됐다.
서북공심돈과 여러 수치로 비교해 보자. 서북공심돈이 너비 사방 23척, 건축면적 50㎡, 연면적 139㎡인 데 반해 남공심돈은 너비 사방 13척, 건축면적 16㎡, 연면적 38㎡로 남공심돈의 사용 면적은 서북공심돈의 27%에 해당한다. 그뿐만 아니라 포혈의 규모도 서북공심돈이 43개인 데 비해 남공심돈은 13개로 서북공심돈의 28%이고 수량은 무려 30개가 적다.
두 공심돈이 설치된 치성의 면적은 남공심돈이 서북공심돈보다 6% 넓은데 남공심돈의 바닥면적, 연면적, 집을 지을 최상층 바닥면적은 서북공심돈의 3분의 1에도 못 미친다. 매우 초라한 계획이다. 벽 두께와 사다리 면적을 빼면 대포 1문 사용하기에도 빠듯한 쓸모가 없는 공간이다. 규모, 면적, 화력은 결국 방어력의 차이가 된다. 왜 남공심돈은 이런 상태가 됐을까?
원래 화성의 공심돈은 중국의 병서에서 돈을 참고했는데 ‘무비지’의 돈후도를 보면 주변 관측이 쉽도록 높은 땅에 세운 모습을 볼 수 있다. 남공심돈은 이런 돈의 제도를 가장 충실하게 따른 것이다. 공심돈의 완성 순서는 남공심돈, 서북공심돈, 동북공심돈이다. 가장 먼저 착수하고 가장 먼저 완성했기 때문에 그야말로 중국 제도를 충실히 따를 수밖에 없었다.
남공심돈이 초라한 것은 남공심돈이 설계 잘못이 아니라 중국의 제도를 그대로 따랐기 때문이다. 반면 서북공심돈은 설계를 잘한 것이 아니라 개선을 충실히 한 것이다. 즉, 남공심돈을 건설하며 파악한 문제점을 서북공심돈에 반영한 것이다. 어찌 보면 남공심돈은 화성에서 공심돈 건설의 파일럿 프로젝트였다.
그러면 남공심돈의 어떤 문제점을 개선했을까? 첫째는 공심돈이 세워질 치에서 3척씩 안으로 들어가 세운 치명적 잘못을 개선했다. 물린 사방 3척씩을 공심돈으로 포함해 사용 면적을 3.5배 이상으로 대폭 늘려 쓸모 있는 공간으로 바꿨다. 둘째, 치의 여장에 가리기 때문에 설치하지 못한 1층에도 많은 포혈을 설치해 공격력을 3.3배로 대폭 강화했다.
셋째, 최상층 바닥면적을 9.6㎡에서 42.9㎡로 4.5배나 늘려 적의 동태를 살필 뿐 아니라 공격할 수 있는 전안과 총안을 대폭 늘렸다. 끝으로 내부 공간이 넓어짐으로써 층 사이를 오르내리는 나무 사다리의 경사도가 완만해져 병사는 물론 무기나 대포알 등의 이동이 안전하고 신속해졌다.
원래 중국의 돈은 성과 떨어져 세웠다. 돈은 대포 등 무기의 발달로 적에게 함락당하기 쉬워졌다. 이에 정조는 돈을 성으로 끌고 들어와 돌출된 치 위에 높게 세웠다. 또 단순한 방어가 아니라 ‘적극적 공격에 의한 수성’으로 방어 전략을 바꿨다. 그 산물이 바로 공심돈으로 속을 비우고 대포 등 막강한 화력을 배치한 것이다.
남공심돈에서 3척을 안으로 물린 것은 정조의 치명적 실수였다. 정조가 서북공심돈에서 신하들에게 “맘껏 보아라”라고 자랑한 것은 남공심돈의 실패가 가슴 아팠기 때문이다. 서북공심돈보다 먼저 완공한 조선 최초의 남공심돈에서 자랑하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무기의 발달로 변화된 환경에 맞게 성 안에 건립했고 앞서 건설한 남공심돈의 실패를 확실히 개선한 서북공심돈에서 정조의 이노베이션 마인드를 엿보았다. 진정한 혁신경영의 한 단면이다.
필자는 실패를 떠나 남공심돈 자체의 모습은 서북공심돈보다 더 아름답다고 본다. 팔달산을 배경으로 이웃한 팔달문, 남동적대, 남암문, 남수문과의 조화는 용연, 각건대, 방화수류정 조합만큼이나 아름다운 화성의 시설물이다. 언제나 복원되려나? 글·사진=이강웅 고건축가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 지원을 받았습니다.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낀 경기도’ 김동연호 핵심 국비 확보 걸림돌…道 살림에도 직격탄 예고
- 삼천리그룹,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단행
- 공천 개입 의혹 명태균·김영선 구속..."증거인멸 우려"
- 한국 축구, 북중미월드컵 亞 3차 예선서 파죽의 4연승
- “해방이다” 수험생들의 ‘수능 일탈’ 우려...올해는 잠잠하네 [2025 수능]
- "우리 집으로 가자" 광명서 초등생 유인한 50대 긴급체포
- [영상] “온 어린이가 행복하길”…경기일보‧초록우산, 제10회 경기나눔천사페스티벌 ‘산타원
- 성균관대 유지범 총장, 대만국립정치대학교에서 명예 교육학 박사학위 받아
- 어린이들에게 사랑 나눠요, 제10회 나눔천사 페스티벌 산타원정대 [포토뉴스]
- 이재명 “혜경아 사랑한다” vs 한동훈 “이 대표도 범행 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