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카오, 큰돈 들여 호텔 짓는다?…지진·태풍 와도 끄덕 없다는데 [더테크웨이브]

황순민 기자(smhwang@mk.co.kr) 2023. 10. 14. 18: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버들의 호텔’ 데이터센터 현황

카카오의 첫 번째 자체 데이터센터(IDC)가 베일을 벗었습니다. 지난달 26일 카카오는 경기 안산시에 있는 한양대 에리카캠퍼스에서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 준공식을 열었어요. 서버용 컴퓨터 12만 대를 보관할 수 있는 이 데이터센터는 안정화 작업을 거쳐 내년 1분기부터 본격 운영될 예정입니다. 네이버는 두 번째 자체 데이터센터인 ‘각 세종’ 오픈을 앞두고 있고요.

초연결시대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는 ‘4차 산업혁명의 꽃’ ‘서버들의 호텔’ 등 여러 별명으로 불립니다. 변하지 않는 점은 갈수록 복잡해지고 방대해진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있어 데이터센터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지고 있다는 것이죠. 특히 데이터센터는 생성형 인공지능(AI)기술 인프라와 클라우드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지난해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는 국내에서도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계기가 됐습니다. 재난·재해에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정보기술(IT) 회사들 입장에선 데이터센터를 확보하고 관련 기술을 끊임없이 진화시켜 나가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번주 ‘더테크웨이브’에선 국내 대표 IT기업 네이버와 카카오가 자체 구축한 시설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 현황에 대해 들여다보겠습니다.

카카오의 첫 자체 데이터센터
지난 2021년 첫 삽을 뜬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은 카카오가 처음으로 자체 구축한 데이터센터입니다. 연면적 4만 7378 제곱미터에 서버 12만 대·서버 보관 설비인 랙 4000대를 보관할 수 있는 초대형 규모로 지어졌죠.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 이미지. 카카오
업계에서는 이처럼 10만대 이상의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하이퍼스케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안산에 저장 가능한 데이터량만 6EB(엑사바이트)에 달한다고 해요.

카카오는 외부 업체에서 빌려 쓰고 있는 데이터센터 내 서버를 새 데이터센터로 통합·이전할 계획을 갖고 있어요.

카카오가 임차하고 있는 데이터센터 규모는 서버 10만대 수준으로 알려졌죠. 카카오는 운영 시스템 설치와 안정화 테스트를 거쳐, 내년 1분기 중 본격 가동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어떤 재난 사고에도 대응할 것”
데이터센터는 무엇보다 재난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에 대해 카카오는화재·지진·홍수 등 자연 재해와 재난에 대비한 재난설계를 적용했다고 강조했어요.

대규모 화재에 대비한 4단계 화재 대응 시스템을 비롯해, 내진설계와 정전에 대비한 전력·냉방·통신의 이중화 등 홍수나 해일, 태풍, 지진 등의 자연 재해에 대비한 강력한 재난설계를 적용했다는 것이죠.

초속 28m의 바람, 규모 6.5 지진에도 버틸 수 있을 정도라고 합니다.

4단계 화재 대응 시스템과 정전에 대비한 전력·냉방·통신 이중화 시스템도 도입했고요. 특히 비상시 쓰이는 무정전 전원장치(UPS)를 배터리실과 격벽으로 구분·4개 구역으로 분리해 한쪽에서 불이 나더라도 시설 운영이 가능하게 한 점도 눈에 띕니다.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 카카오
홍은택 카카오 대표는 준공식에서 “어떠한 재난과 사고에도 완벽히 대응하는 (카카오 데이터센터는) 안정적인 서비스로 모두의 당연한 일상을 지키겠다는 카카오의 다짐과 약속의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죠.

데이터센터의 또 다른 화두는 ‘친환경’ 입니다. 데이터센터 안산은 또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빗물, 중수, 폐열 등을 재활용한다고 합니다.

카카오는 제2 데이터센터 건립도 추진하고 있어요. 서울대 시흥캠퍼스 내 부지에 내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죠.

데이터센터에 기술력 집결한 네이버
네이버는 자사의 글로벌 기술력을 각 춘천 데이터센터와 올해 하반기 공개 예정인 ‘각 세종’ 데이터센터에서 구현할 계획을 갖고 있어요. 네이버는 2013년 강원도 춘천 구봉산 자락에 첫 데이터센터를 설립한 후 세종에서 제2데이터센터 오픈을 준비중입니다.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춘천 조감도.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춘천은 내재화한 데이터센터 설비, 소프트웨어 관련 기술력을 바탕으로 벌써 10년간이나 무중단, 무사고, 무재해로 운영 중이죠.

수도권 대비 연중 기온이 2~3도가량 낮은 춘천의 자연풍을 활용해 서버실 열기를 식히는 구조를 설계한 것이 특징입니다.

네이버의 첫번째 데이터센터 각 춘천 이미지. 네이버
넓은 용지 확보는 데이터센터 입지 선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각 춘천의 경우 본관과 서버동을 분리해 총 네 개의 동으로 설계됐어요.

가령 A동에 불이 나더라도 해당 동을 셧다운하고 B, C동은 정상 가동이 가능하다게 설계한 것이죠. 반면 좁은 용지에 층으로 짓는 데이터센터의 경우 상대적으로 화재 위험에 취약할 수 있어요.

최첨단 데이터센터 ‘각 세종’ 출격 준비중
네이버는 외부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데이터센터 운영체계를 확보하기 위해 전기, 제어, 기계, 통신 분야 등 다양한 직군에서 전문 인력을 육성하고 기술역량 내재화에 공을 들여왔다고 해요.

그리고 네이버의 첨단 기술력을 집약한 두번째 데이터센터인 ‘각 세종’은 이르면 11월 가동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네이버의 초거대 AI인 하이퍼클로바X를 운영할 핵심 인프라로, 외부 투자없이 네이버가 자체적으로 구축한 것이 특징입니다.

미래형 로봇 데이터센터를 표방하는 각 세종은 각 춘천의 6배 규모인 29만3697㎡ 대지 위에 세워지는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입니다. 수전 용량 또한 각 춘천의 6.7배인 270㎿에 달합니다.

각 세종은 약 60만유닛 이상의 서버를 수용할 예정으로 네이버는 빅데이터, AI, 로봇 등 팀 네이버의 기술역량을 모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스트럭처로 자부하고 있어요.

이를 클라우드산업의 핵심 동력으로 삼는다는 게 네이버의 계획입니다. 규모가 압도적으로 큰 만큼 로봇과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이 대거 적용돼 데이터센터 현장 업무의 생산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데이터센터 수요 폭발적 성장
데이터센터가 없으면 대규모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데이터센터가 서비스의 안정적인 가동을 위해 가장 중요한 핵심 시설로 분류되는 이유입니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데이터센터를 특급 보안시설에 준해 운영하고 있어요.

데이터센터에 대한 수요는 폭발적으로 성장해왔고, 앞으로 더 커질 것으로 보여요. AI, 6G, 자율주행, 가상세계(AR·VR) 등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죠.

최근 트렌드로 보여지는 초거대 데이터센터는 10만대 이상의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를 말하는데요, 일종의 거대한 ‘데이터 물류센터’인 셈입니다.

데이터센터는 특히 클라우드 시장과 함께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란, 인터넷 통신망 어딘가에 ‘구름’처럼 싸여 보이지 않는 컴퓨팅 자원을 각 기관·기업 내부의 전산실에서 벗어나 필요한 만큼 외부에서 가져다 쓸 수 있는 가상 서버를 말하죠.

개념 자체는 가상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서버와 네트워크 장치를 비롯한 컴퓨팅 장비를 갖춘 물리적 공간, 바로 데이터센터가 필요한 지점입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등 전 세계 빅테크 기업들은 데이터센터 중요성을 일찍부터 인식하고 여기에 막대한 돈을 쏟아부어 왔어요.

규모가 큰 기업의 경우 자체적으로 데이터센터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죠. 하지만 상대적으로 영세한 회사의 경우 자체 데이터센터 구축과 운영에 상당한 비용이 들고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돈을 내고 데이터센터를 빌려쓰기도 합니다.

‘전기먹는 하마’ 데이터센터
데이터센터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전력을 소비합니다. 이는 데이터센터가 풀어야 할 숙제이기도 합니다. 24시간 쉴 새 없이 가동되는 데이터센터는 서버 운용뿐 아니라 실내 냉각과 습도 유지에도 막대한 전력을 소비합니다.

특히 생성AI 시대가 열리면서 데이터센터 내에서 효과적인 열 관리 기술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데이터 처리 부담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이는 열에너지로 변환돼 데이터센터를 뜨겁게 달구고 있기 때문이죠.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메타와 MS와 같은 빅테크들은 해저에 데이터센터를 짓거나, 풍력을 이용한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 등 새로운 실험을 벌이고 있습니다.

구글은 지난해 태양열, 풍력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과 시간대에 맞춰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겠다는 전략을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AI 등 미래 기술경쟁 핵심이 된 데이터센터
해외 빅테크들은 자체 데이터센터와 DR(재해복구)센터 설립 등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릴 뿐만 아니라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를 대비한 컨틴전시 플랜과 시스템을 구축하는데도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재 또는 기타 운영 중단을 일으키는 사건이 발생할 경우 데이터 액세스를 다른 데이터센터로 자동으로 전환해 중단 없이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치하거나, 비상용 백업 발전기를 구비해 정전 시에도 데이터센터에 계속 전력을 공급하는 식입니다.

국내 IT업계를 대표하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자체 데이터센터를 통해 글로벌 클라우드·AI 경쟁을 위한 기초체력을 다진 것은 매우 긍정적입니다.

많은 돈을 들여 인프라를 만든 것에 의의가 있지만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운영의 묘’를 찾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네카오가 미래형 인프라(데이터센터)를 통해 로봇, AI, 클라우드 등 첨단 산업에서 빅테크와 멋지게 경쟁하길 기대해봅니다.

<황순민 기자의 더테크웨이브> 연재를 시작합니다. 기술(Tech)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리라 믿습니다. 혁신적인 서비스로 인류를 진보시키는 최신 기술 동향과 기업 사례를 소개하겠습니다. 네이버 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다음 기사를 쉽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