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집’ 김지운 감독 “다양한 시도로 영화계 지평 넓히는 것이 내 할 일”

2023. 10. 14. 15: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거미집'을 만들고 보니 김열 감독을 통해 제게 힘을 잃지 말라고 하는 영화가 아닐까 생각했어요. 하고 싶은 영화에 박차를 가하라는 메시지를 주는 것 같아요."

"대중성이란 건 누구든 고민하는 문제에요. 영화 '조용한 가족' 때도 '거미집'보다 훨씬 파격적이고 흥행할 수 없는 몇 가지 리스크를 안고 있었는데 결국 성공했죠. 모든 건 특수성에서 시작해 보편성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해요. 새로운 시도를 계속 지지해줘야 한국 영화도 체질을 개선할 수 있고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이런 걸 젊은 감독들이 해줘야 하는데, 노후를 생각해야 하는 감독이 해야 하는 것은 어쩌면 아이러니한 한국의 자화상일 수도 있겠네요."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칸 초청작’ 거미집, “천국과 지옥 오가는 내 모습 투영”
“영화 리듬감에 중점…송강호, 모든 감독의 페르소나”
“새로운 시도 지지해줘야 한국 영화 체질 개선 가능”
[바른손이엔에이 제공]

[헤럴드경제=이현정 기자]“‘거미집’을 만들고 보니 김열 감독을 통해 제게 힘을 잃지 말라고 하는 영화가 아닐까 생각했어요. 하고 싶은 영화에 박차를 가하라는 메시지를 주는 것 같아요.”

신작 ‘거미집’으로 5년 만에 돌아온 김지운 감독은 최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거미집’을 연출한 소감을 이같이 밝혔다.

영화는 1970년대 초 김열 감독(송강호 분)이 이미 촬영을 마친 영화 ‘거미집’의 결말을 바꾸면 걸작이 탄생할 것이라고 믿고 영화 재촬영을 강행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거미집’은 지난 5월 제76회 칸 국제영화제 공식 비경쟁 부문에 초청돼 호평을 받았다.

영화는 걸작을 향한 김열 감독의 광기에 가까운 열망과 열정을 그린다. 촬영 현장에서 감독이 홀로 느끼는 복잡미묘한 내면 심리도 섬세하게 보여준다. 김지운 감독은 이러한 장면엔 자신의 모습이 일부 투영된 것이라고 했다.

[바른손이엔에이 제공]

“촬영 현장에서 ‘왜 나만 애쓰지?’ 하며 모두가 절 방해하고 있다고 생각한 적이 있어요. 일상에선 평정심을 잘 유지하는데 촬영 현장에선 천국과 지옥을 하루에 수십 번도 오갔거든요. 하루는 ‘내가 누구도 할 수 없는 걸 해냈네’ 라고 했다가 다른 날엔 ‘이걸 왜 못하고 있지?’ 하면서 스스로에게 화가 날 때가 있죠. ‘대체 영화가 뭐길래 날 이렇게 흔들어 놓을까’라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영화의 중심 인물은 김열 감독이지만 전체적인 이야기는 배우들의 앙상블로 전개된다. 배우들의 유기적인 호흡은 좌충우돌을 겪는 영화 현장의 다이나믹을 살린다. 영화의 배경도 영화 세트장에 국한되지만 배우들의 티키타카가 어우러지면서 영화는 숨 가쁘게 전개된다. 김지운 감독은 배우들의 이러한 호흡과 리듬감에 중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배우들이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이 리듬감 있는 음악처럼 들리길 원했어요. 영화의 배경이 촬영 세트장이다 보니 자칫 지루해질 수 있겠다는 생각에 세트장의 이곳 저곳도 계속 돌아다니며 찍었죠. 그렇게 공간을 휘저으면서 역동성 있는 인물과 상황을 보여주며 리듬감을 살리려고 했습니다.”

[바른손이엔에이 제공]

그는 배우들의 환상적인 호흡 덕분에 이번 촬영 현장은 그 어느 때보다 수월했다고 전했다.

“이번 현장은 대체로 천국이었어요. 촬영이 한 공간에서만 진행된 영향도 있었지만, 배우들이 워낙 알아서 잘 연기해준 덕분이었죠. 특히 송강호 씨가 중심을 단단하게 잡아준 덕에 가능했어요.”

김지운 감독과 송강호의 작업은 영화 ‘놈놈놈’, ‘밀정’ 등에 이어 다섯 번째 작품이다. 일각에선 송강호가 김지운 감독의 페르소나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평가에 고개를 저었다.

“강호 씨는 누구의 페르소나가 아닌 것 같아요. 굳이 말하면 모든 감독의 페르소나죠. 훌륭한 연기자가 된다는 건 훌륭한 사람이 되는 것이라는 걸 증명해주는 배우에요. 현장에서 모든 걸 신경 써주는 덕분에 제작자가 한 명 더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해주죠. 그런 점에서 매우 든든합니다.”

[바른손이엔에이 제공]

영화는 신선하고 재밌다는 의견과 난해하다는 평가로 갈린다. 이는 곧 영화의 대중성으로 직결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김지운 감독은 대중성이나 보편성은 특수성에서 먼저 시작된다는 점을 꼬집었다.

“대중성이란 건 누구든 고민하는 문제에요. 영화 ‘조용한 가족’ 때도 ‘거미집’보다 훨씬 파격적이고 흥행할 수 없는 몇 가지 리스크를 안고 있었는데 결국 성공했죠. 모든 건 특수성에서 시작해 보편성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해요. 새로운 시도를 계속 지지해줘야 한국 영화도 체질을 개선할 수 있고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이런 걸 젊은 감독들이 해줘야 하는데, 노후를 생각해야 하는 감독이 해야 하는 것은 어쩌면 아이러니한 한국의 자화상일 수도 있겠네요.”

김지운 감독은 이러한 사명감이 담긴 새로운 시도를 계속 도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다양한 영화를 통해 지평을 넓혀갈 수 있는 영화를 계속 만들고 싶어요. 그게 영화계를 위해 제가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ren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