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모 셋 중 한 명은 35세 이상, 난산에 비용·시간 ‘삼중고’ [난임 부부의 눈물]
SPECIAL REPORT
김명진(42)씨는 만 38세에 첫 아이를 낳았다. 3000만원 정도의 난임 시술 비용이 들었지만, 당시 기준소득이 높아 정부지원 대상에 들지 못해 대부분을 개인 비용으로 지출했다. 4년 전 일을 회상한 김씨는 “시험관 시술에 나서는 과정에서 대부분 검사나 치료가 비급여였다”며 “아무래도 노산이다 보니 중요한 검사가 비급여 항목이라도 태어날 아이를 생각해서 반드시 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그는 “아이는 얻었지만 신체적 건강을 잃었고 정신적 고통도 어마어마했다”며 고개를 내저었다.
김씨 같은 35세 이상 고령 산모는 2022년 기준 35.7%(통계청 인구동향)다. 11년 전인 2011년 18%에서 두 배로 커졌다. 산모 셋 중 한 명은 고령인데, 이들은 고위험자이기도 하다. 고령 산모의 고위험성은 이렇게 이어진다. 고령 산모 증기→난임 시술 증가→난임 시술로 인한 다태아(多胎兒·쌍둥이) 임신 증가→다태아 임신에서 종종 발생하는 조산 비율 증가. 그래서 적절한 예방책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성은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고령 산모의 경우 난임 시술을 받으면서 고위험 가능성은 더 커지게 됐다”며 “지난해 평균 출산 연령이 33.5세인데, 이를 앞당기려는 노력과 함께 난임 시술에 대한 사전적인 가이드라인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1년 사이 국내 출생아는 47만1000명에서 26만1000명으로 45%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신생아 중 조산아 비율은 6%에서 9.2%로 1.5배 증가했다. 조산은 임신 20주에서 37주 사이의 분만을 일컫는다. 37주를 다 채우지 못하거나 체중 2.5㎏ 미만으로 출생한 미숙아의 경우 사망률이 높아질 수 있으며 행동장애·뇌성마비·자폐증·천식 등 여러 합병증을 가질 수 있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2021년 기준 임신 기간이 37주 미만인 다태아는 전체의 66.6%, 체중이 2.5㎏에 못 미치는 다태아는 59.9%에 달한다. 미숙아인 경우 출생 직후 인큐베이터로 이동해 입원 치료를 받게 되는데 단태아 출산보다 경제적 부담이 크고 입원 기간도 길어질 수 밖에 없다.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국민권익위원회는 ‘다태아 지원정책의 실효성 제고 방안 보고서’를 통해 “다태아는 임신 초기부터 출산에 이르기까지 단태아에 비해 산모와 태아의 신체적·정신적 고통이 극심해 난임 치료를 기피하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며 “그런데도 일·가정 병행 지원 등 정책은 단·다태아 고려 없이 획일적으로 설계된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물질적 지원이 답일까. 김성은 교수는 “고령 산모를 무작정 지원하는 것은 역설적으로 고령 산모를 늘리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젊은 여성들이 임신해도 경력 단절이 되지 않는 환경을 만들고, 적절한 나이에 자연분만을 유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응급 상황의 고위험 임산부를 즉각 수용할 수 있는 병원을 연계해주는 등 시스템 개선 노력이 효율적일 것”이라며 “고령 산모들이 난임 시술에 과도하게 기대는 것은 태아와 산모 모두를 위험하게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산모도, 대책도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는 얘기다.
원동욱 기자 won.dongwook@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