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노동력 부족 난제… 고학력 ‘워킹 시니어’ 활용으로 풀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내년에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반면 청년 인구는 감소하면서 노동력 부족이 경제성장을 위협할 전망이다.
저학력 노인 취업자 수는 198만5000명으로 고학력자보다 많지만 그 수는 4년간 10만 명 감소했다.
대학 진학률이 높아진 1980년대에 20대 청년기를 겪은 1960년대 출생 인구가 본격적으로 합류하면 고학력 노인층 증가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내년에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반면 청년 인구는 감소하면서 노동력 부족이 경제성장을 위협할 전망이다. 교육을 많이 받고, 건강 상태도 좋은 데다 일할 의욕이 넘치는 ‘워킹 시니어’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가 시급한 이유다.
지난해 65세 이상 취업자 가운데 전문대 졸업 이상인 고학력자는 122만2000명으로 2018년의 5.4배다. 4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50%가 넘는다. 저학력 노인 취업자 수는 198만5000명으로 고학력자보다 많지만 그 수는 4년간 10만 명 감소했다. 대학 진학률이 높아진 1980년대에 20대 청년기를 겪은 1960년대 출생 인구가 본격적으로 합류하면 고학력 노인층 증가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다.
문제는 급증한 고학력 시니어 중 다수가 질 낮은 일자리에 묶여 있다는 점이다. 작년 기준으로 고학력 취업자 중 23.6%는 단순 노무직, 11.7%는 생산직이었다. 주당 36시간 이상 일한 이들의 비중은 절반을 간신히 넘는 수준이다. 높은 학력, 평생 키운 전문성을 활용하지 못하는 ‘생계형 일자리’에 머무르고 있다는 의미다. 정부가 내년에 만든다는 103만 개 ‘세금 일자리’도 대부분 복지 성격의 단순 업무여서 이들의 눈높이를 충족하기에 역부족이다.
고령화 충격을 앞서 경험한 일본은 고용 연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60세 정년은 그대로 두되, 임금 유연성을 높여 기업들이 65세까지 고령층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도록 의무화한 것이다. 수입이 줄어도 경력을 살려 일할 기회를 얻는 노인들은 환영하고, 인력난을 겪는 기업들도 우호적이다. 반면 한국에선 이런 논의가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경직적 호봉제를 그대로 둔 채 고용 연장을 시도할 경우 기업의 인건비 부담이 커져 청년층의 일자리를 잠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국의 고도 성장기에 일터를 지켜온 50, 60대 고학력 워킹 시니어의 경험과 지식은 한국 사회의 소중한 자산이다. 여전히 일할 의욕에 충만한 이들의 능력을 더 오래 활용할 수만 있다면 저출산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 연금 고갈 등 많은 난제를 푸는 돌파구가 될 수 있다. 더 늦기 전에 역량 있는 고령층에게 더 일할 길을 터주기 위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스라엘 “며칠내 가자서 작전” 진입 초읽기
- [단독]정부 “이스라엘 교훈… 北 미사일발사장-평양 ‘휴민트’ 강화할 것”
- 국민연금 개혁안에… ‘더 받는 안’ 막판 추가
- 與 내일 긴급 의총… 대통령실 “비대위는 답 아니다”
- 野지도부 “가결파 전부 아닌 해당 행위자만 징계 논의”
- [오늘과 내일/장원재]전원일치 판결로 사회를 바꿔야 하는 이유
- [횡설수설/서정보]퇴직 공무원 수명, 소방관 가장 짧고 판검사 가장 길다
- ‘전현희 감사보고서 공개 과정’ 국감서 난타전
- ‘대북송금 의혹’ 이화영, 6개월 구속 연장
- 與 “해킹 취약 선관위, 현대판 부정선거 우려”… 野 “국정원 발표, 선관위 독립성 흔들기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