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적’김남길,“독립군이 아니라는 점에 끌려…글로벌 콘텐츠로서 다채로움 있다”

2023. 10. 13. 11: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 서병기 선임기자]“나라를 위해 싸우면 독립군, 가족을 위해 싸우면, 그게 도적 아니겠습니까.”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도적: 칼의 소리’가 K-액션으로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제목 ‘도적(刀嚁)’은 남의 것을 빼앗는 강도로서의 ‘도적(盜賊)’이 아니라 ‘칼 도(刀), 소리 적(嚁)’으로, 칼의 소리라는 뜻이다.

‘도적’은 1920년 중국의 땅, 일본의 돈, 조선의 사람이 모여든 간도에서 소중한 사람들과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해 하나 된 이들이 벌이는 액션 활극이다. 극 중 김남길은 노비 출신의 일본군이었지만 현재는 간도에서 살아가는 도적단을 이끄는 이윤 역을 맡았다. 김남길은 이윤이 독립군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흥미를 느꼈다고 했다.

“이윤이 독립군이 아니라는 점에 끌렸다. 일제시대의 드라마는 대개 독립군과 일본군간의 전쟁이 많고, 획일적이다. 1920년대 간도는 모든 욕망이 뒤엉키는 무법천지의 땅이다. 확실한 빌런이 있는 게 아니다. 독립군이 들어올 여지도 있다. 중국 마적이 조선인을 죽이지만 간도에서 자기들도 살려는 방편이다. 무조건 전쟁을 하려고 하는 건 아니었다. 이런 이야기가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일본과 싸워 해방됐다는 명확한 얘기를 다룬 것보다 글로벌 콘텐츠안에서 보여줄때 훨씬 더 다채로운 걸 보여줄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도적’은 1920년대 항일 역사를 다루는 단순한 시대극이 아닌 대중들이 즐길 수 있는 작품으로 장르적인 특성과 액션을 가미했다. 여기에 간도협약, 남만주 철도 부설권, 간도 지방 불령선인 초토 계획 등 실제 역사적 사건들을 다루며 1920년대 항일 서사는 물론 시대 정서까지 디테일하게 그려냈다. 뿐만 아니라 일제 강점기 시대 만주에서 펼쳐지는 한국형 서부영화로 만들어 흥미를 자아낸다.

“시대적 분위기는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시대가 혼재되어 있으면서 근현대 이야기를 같이 가져가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1920년대 간도는 역사적으로 우리가 잘 모르는 사건도 많았을 것이다. 그래서 같은 시대를 그린 웨스턴 장르와 분위기를 차용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거기에 그 시대 만주 지역 이야기들이나 소재들을 더했고, 그 안에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도 담아냈다”

그러다 보니 니편 내편 식의 드라마가 아니어서 빌런이 명확하지 않고, 욕망을 추구하는 삶의 방식의 묘한 지점들이 드러난다. 극중 등장하는 명정(간도)은 그런 지점들이 충돌하는 복합적인 장소다. 그래서 ‘나는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을 뿐이야’와 같은 대사가 오히려 잘 이해됐다.

극 중 이윤이 독립군이 아닌 ‘도적’의 신분으로 마적단과 일본군들에 대항하는 점이 흥미롭게 전개된다. 보기만 해도 묵직한 장총과 권총, 단검을 자유자재로 다루는가 하면 황야에서 벌어지는 총격전과 마상 액션 등 다채롭고 스타일리시한 액션으로 K-액션의 새 지평을 열고 있다.

여기에 의병장 출신으로 활쏘기가 특기이며 도적단의 정신적 지주인 최충수(유재명)와 명사수 강산군(김도윤), 쌍도끼를 들면 천하무적인 남사당패 출신 초랭이(이재균), 완력과 맷집으로 상대방을 압도하는 금수(차엽) 등 도적패들의 활약보 볼만하다.

“서부극에 자주 나오는 윈체스터와 리볼버 액션이 있다는 건 알았다. 나도 총을 왜 돌리는지 모르겠다. 손가락이 아파 죽겠는데. 맷 데이먼도 바로 앞에서 쏘는데 돌려서 위협하더라. 보여주기 위해 액션을 크게 해야 하니까. 고전영화를 보니까 조금씩 돌리더라. 안돌리고 모니터를 하면 되게 심심해보인다. 합을 맞추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일본, 중국 마적, 조선인이 모여있는 장소가 근현대 넘어오면서 총과 도끼, 칼을 함께 쓰는 영화 ‘놈놈놈’ 같은 공간이 되면서 아시아의 웨스턴 무비 같은 느낌을 준다. 하지만 김남길은 이번 작품을 하면서 시대적 배경 속 자칫 의도가 왜곡되어 보이는 것이 있거나, 역사적 이유로 작품이 외면받지 않기를 원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남길은 “역사적 사건을 모티브로 한 작품이 아니더라도 우리의 시대적 배경을 글로벌하게 보여주는 것에 대하여 책임감을 갖고 있다. 사람들은 전쟁이나 실제 사건들을 모티브로 한 드라마를 보고 나면 실제 역사와 사건을 찾아보기도 한다. 그래서 더 많은 사람이 이 작품을 보기 바라는 마음으로 전 세계인들에게 익숙한 웨스턴 장르의 분위기에 총술, 마상 액션 등 재미 요소도 가미했다”고 설명했다.

김남길은 1920년대를 만드는 건 도전이라고 했다. 이윤은 조선 총독부 철도국 과장으로 위장한 독립운동가로 독립군에 보낼 군자금을 구하기 위해 철도 부설 자금을 탈취하는 임무에 뛰어드는 남희신(서현)과 어정쩡한 멜로를 펼친다. 이와 관련 김남길은 “그 시대, 나도 그런 성향이 아니어서 연기 하는 내내 답답했다”고 털어놨다. 멜로의 마무리는 9부작 대미를 장식한다. 이는 한 독립군이 이윤에게 전하는 말이기도 하다.

“우리가 사는 지금 이 시대는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이면 안되는 세상이다. 누군가를 그리워하고 연모하는 마음을 지우고 살아야 한다. 그래야 우리가 원하는 세상을 만들 수 있지 않겠는가.”

‘도적’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얘기다. 그래서 김남길은 실존인물을 통해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찾아보고 상상해보는 등 공부하면서 연기를 했다고 털어놨다.

wp@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