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호의 우리말 바로 알기] ‘훈민정음’과 ‘한글’ 이야기
한편 지금은 한글이라고 하여 세계인이 배우고자 하는 글자가 되었다. 세계 7대 언어의 반열에 들었다. 참으로 고무적인 일이다. 한국은 다른 나라를 정복하거나 침략한 것도 별로 없는데, 오로지 문화로 세계의 7대 언어가 된 것이다. 이 속도로 가면 곧 5대 언어가 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이제 한국어는 한류의 한 분야가 되었다. 구한말에는 '나라의 글'이란 뜻으로 '국문(國文)'이라 불렀다. 구한말 뿐만 아니라 50년 대에 태어난 사람들은 국문이라는 표현을 많이 하면서 자랐다. 한글과 국문이 거의 대등하게 사용되었다.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한글'이라는 이름이 등장했는데 정확한 기원을 알기는 어렵다. 누구라고 지칭하기도 힘들다. 구한말 1877년에 선교사 존 로스 목사가 처음으로 한글 띄어쓰기를 적용한 <조선어 첫걸음>이라는 교재가 나왔고, 1896년 헐버트나 주시경 등이 한글 띄어쓰기를 현실에 적용할 것을 강력하게 주장하면서 한국어에 관한 명칭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그 전에는 ‘배달말’, ‘한말’ 등으로 쓰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현재 쓰이는 '한글'이라는 이름은 창시자가 불분명하지만 대체로 주시경이 약 1912년 경에 저술한 《소리갈》(음성학)이라는 책에서 처음 쓴 것으로 보고 있다. (고영근 2003) 한편, 최남선이 처음으로 한글이라는 명칭을 사용했고, 주시경이 이에 동의하였다고 하는 학설(박승빈, <한글맞춤법통일안 비판>, 1936(고영근, 2003에서 재인용)도 있다. 하지만 최남선이 <아이들보이>라는 책에서 ‘한글풀이’라는 글을 쓴 것이 1913년으로 주시경보다 약간 시기적으로 늦었다. 잔술한 바와 같이 주시경이 헐버트와 독립신문에 한글 띄어쓰기를 주장한 것이 1896년도이므로 시기적으로 누가 한글이라는 이름을 지었는지는 명확하게 구명하기가 어렵다. 명칭에 관한 정확한 기록이 없는 관계로 누구라고 속단하기는 어렵다.
끝으로 세종대왕이 기역, 니은, 디귿이라는 이름을 지은 것으로 아는 독자들이 많은데, 사실상 당시에는 명칭이 없었다. 기역, 니은, 디귿이라는 명칭은 최세진(1473 ~ 1542)이라는 학자가 <훈몽자회(한자 학습교재)>(1527년, 중종 22년 간행)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이름을 붙였다.
[ 최태호 중부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