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어리 떼죽음' 올해도 되풀이…산소 부족 때문? "납득 안 가"

배승주 기자 2023. 10. 12. 21: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경남 창원에선 정어리 떼가 집단 폐사하는 일이 있었는데 올해 또 죽은 정어리 떼가 발견됐습니다. 최근 갑자기 개체수가 늘어나면서 벌어지는 현상인데 정확한 원인이 뭔지 조사 중입니다.

배승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배를 드러낸 정어리가 수면을 뒤덮었습니다.

손가락 만한 치어부터 성어까지 다양합니다.

정어리는 죽은 지 하루나 이틀이 지나면 이렇게 물위로 떠오릅니다.

긴 띠를 이룬 것처럼 사체가 끝도 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바닷 속으로 들어가면 사정은 더 심각합니다.

셀 수 없이 많은 정어리가 바닥에 깔려 있습니다.

떠오른 건 아주 일부였던 겁니다.

[마산지방해양수산청 관계자 : 바닥에 가라앉은 것을 수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니까…]

지난해 같은 시기 창원시 마산만과 진해만 일대 226톤이 폐사했습니다.

[이창환/창원시민 : 지저분하고 냄새도 안 좋잖아요.]

정어리 대규모 폐사는 지난 6월 제주와 부산, 지난달 경남 남해에서도 나타났습니다.

지난해보다 시기가 빨라지고 범위가 확대됐습니다.

[윤숙녀/제주 해녀 : 해수욕장에도 하얗게 엄청 많이 올라오는 거야. 물질 45년 해도 정어리 보지도 않았고…]

지난해 수산과학원은 산소 부족을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하지만 정어리 딱 한 어종만 집단 폐사해 의혹은 커졌습니다.

[이원준/창원시민 : 원인을 여러 가지 이야기하던데 저는 납득이 잘 안 가네요.]

정어리 개체 수는 최근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2006년에는 단 한 마리도 잡히지 않았던 게 지난해 1만 2천 마리, 올 현재 2만 마리 넘게 잡혔습니다.

[정석근/제주대 해양생명과학과 교수 : 멸치가 줄어들면 정어리가 늘어나는 패턴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10년 정도는 정어리가 많이 잡히지 않을까 (전망됩니다.)]

늘어나는 정어리 수만큼 집단 폐사 현상도 더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화면제공 남해군]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