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승’ 억만장자 [만물상]
엊그제 세상을 떠난 면세점(DFS) 거부 찰스 척 피니는 ‘자선사업계의 제임스 본드’라 불렸다. 그는 직원들에게 이면지 사용을 강요하고, 변호사 수임료를 무자비하게 깎고, 모임에선 밥값을 내지 않으려고 먼저 자리를 뜨는 등 욕심 많은 구두쇠로 비쳤다. 그러다 1997년 루이뷔통 그룹과의 법적 분쟁 과정에서 대반전이 일어났다. 법정에서 공개된 그의 회계장부에서 그가 15년간 40억달러를 대학과 사회단체 등에 기부한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그는 3년 전 남은 재산까지 모두 기부한 뒤, 자신은 10달러짜리 전자시계를 차고, 방 두 칸짜리 임대 아파트에서 살다가 생을 마감했다.
▶친환경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를 만든 창업주 이본 쉬나드 회장도 무소유를 실천한 수도사형 기업가다. 그는 작년에 “소수의 부자와 수많은 빈자로 귀결되는 자본주의가 아닌 새 자본주의 형성을 바란다”면서 30억달러가 넘는 회사 지분을 환경 단체에 통째로 넘겼다. 파타고니아는 이 소식을 알리면서 “이제는 지구가 우리의 유일한 주주”라고 밝혔다. 쉬나드 회장은 낡은 옷을 입고, 컴퓨터와 휴대폰도 사용하지 않는다.
▶지난해 세상을 떠난 일본 교세라 창업자 이나모리 가즈오 회장은 ‘경천애인’을 사시로 삼고, 도를 닦듯 기업을 경영했다. 27세에 창업해 연매출 70조원, 종업원 13만명의 초우량 기업으로 키운 뒤, 회사 지분을 사회에 기부하고 은퇴했다. 퇴직금 6억엔도 전액 대학에 기부했다. 그가 손님을 접대할 때 애용한 식당은 한 끼에 500엔 이하의 저가 프랜차이즈 식당이었다.
▶얼마 전 방한한 홍콩 영화배우 주윤발은 “내게 필요한 것은 점심·저녁 먹을 흰 쌀밥 두 그릇뿐”이라면서 1조원에 달하는 재산 99%를 기부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배우 키아누 리브스도 무욕의 삶으로 유명하다. 수천억원대 재산을 기부하고, 집도 없이 싸구려 호텔을 전전하며 지하철을 타고 다닌다.
▶우리나라에도 무소유와 박애주의를 실천한 기업가가 있다. 유한양행 창업자 유일한 박사는 경영을 돕던 외아들도 사표를 내게 하고 기업을 종업원 지주회사로 만들었다. 그는 유언장에 “손녀 대학 학비 1만달러만 남기고, 전 재산을 교육, 사회사업에 기부하라”고 썼다. 미국 철강왕 앤드루 카네기는 “부자인 채로 죽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면서 현재 가치 3000억달러가 넘는 재산을 사회로 환원하며 박애주의를 실천했다. 아낌없이 나눠주고 빈손으로 가는 괴짜 억만장자를 더 자주 볼 수 있으면 좋겠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kg 2억짜리 ‘흰금’... 홍콩서 초고가 낙찰된 화이트 트러플
- ‘배현진 습격’ 중학생 심신상실 주장…배 측 “합의 안해”
- ‘음주운전 자숙’ 김새론, 영화 복귀… 남자배우는 제약사 대표
- ‘따릉이’ 27대 하천에 내던진 20대 男 징역 1년
- 만취 상태로 경찰 폭행·모욕한 초임 검사, 벌금형...'기습 공탁' 먹혔다
- SK 3세 이승환, 서바이벌 예능 출연… “가족들에 혼날까 봐 말 안 해”
- [쫌아는기자들] 샘 올트먼과 오픈AI의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운명 바꿀 기회” 코인 투자리딩 사기조직에 1만5000명, 3200억원 피해
- 토머스 번 코리아소사이어티 회장 “트럼프 2기 긍정 측면도 봐야”
- 고교 여자화장실 ‘갑티슈 몰카’ 10대, 징역 4년→6년으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