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초등학교도 본교-캠퍼스 등장?···학생쏠림 해결 위해 분교 설립

김나연 기자 2023. 10. 12. 16:4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교육청 ‘도시형 캠퍼스’ 발표
개편형 주교복합 학교 모델 조감도(상)와 신설형 제2캠퍼스 학교 모델 조감도(하). SH·서울시교육청 제공

서울시교육청이 폐교 위기에 처한 초등학교를 ‘도시형 캠퍼스(분교)’로 살리는 사업을 시작한다. 당장 학교가 필요하지만 설립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곳에도 ‘캠퍼스’를 세우기로 했다.

12일 서울시교육청은 이런 내용이 담긴 ‘도시형 캠퍼스 설립 및 운영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도시형 캠퍼스는 일종의 분교다. 서울 구도심에서는 학생 이탈로 학교 규모가 축소되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주택 개발사업으로 과밀학급이 발생하는 등 불균형이 커졌다. 이를 해결하려면 ‘분교’가 필요한데 대도시인 서울에 농어촌 위주로 설정된 교육부 분교장 권고기준을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서울시교육청은 “도시형 캠퍼스를 통해 서울의 지역적 특성에 맞춰 적정규모의 학교를 설립하고 균형 있는 교육환경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도시형 캠퍼스는 폐교 위기 학교를 분교로 바꾸는 ‘개편형’과 새로운 분교를 만드는 ‘신설형’으로 나뉜다.

‘개편형’은 학생 수가 급감해 정규 기능을 하기 어려운 학교를 다른 학교의 캠퍼스로 만드는 방식이다. 이 중 ‘제2캠퍼스 학교’는 소규모학교 시설을 그대로 쓰면서 주변 학교(본교)와 함께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캠퍼스 학생은 본교 학생과 함께 체육활동이나 토론수업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주교복합 학교’는 불필요해진 학교 용지에 공공주택을 세우고 주변 학교의 자원을 공유하는 모델이다. 공공주택에는 초등학생 학부모가 입주하도록 해 캠퍼스에 학령인구가 계속 유입되도록 한다.

‘신설형’은 학생이 급증하거나 통학 여건이 열악해 학교가 필요하지만, 정규학교 설립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지역에 세운다. 학생 과밀 지역 인근의 오피스텔이나 상가 등을 매입해 캠퍼스로 만드는 ‘매입형 학교’가 대표적이다. 자치구의 공공시설을 무상으로 받아 캠퍼스로 설립하는 ‘공공시설복합 학교’도 있다. 학교용지를 확보한 채 개발사업을 진행했으나 이후 학생 수가 불충분해 정규학교를 설립하기 어려워진 경우에는 개편형처럼 인근 학교의 ‘제2캠퍼스 학교’로 만든다. 재개발 아파트 단지 내에 ‘주교복합 학교’를 세울 수도 있다.

도시형 캠퍼스는 12~24학급(학년별 최소 2학급 이상), 학급당 학생 수는 15~25명으로 운영한다. 교장과 행정실장은 없고 교감만 배치된다. 본교와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필요하면 운동장 등의 시설을 공유할 수 있다. 캠퍼스에 급식실이 없으면 본교의 급식을 2시간 내 배식하도록 한다.

도시형 캠퍼스가 학교 공백 사태를 막을 수는 있지만 본교 등 기존 학교보다 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공동체 활동이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현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 대변인은 “교사 1인당 학생 수 비율이 굉장히 낮아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살리고, 학생 간 분쟁이 지속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설득이 돼야 학부모로서도 도시형 캠퍼스를 선택할 것”이라면서도 “학생이 워낙 없다 보니 고육지책으로서 폐교보다는 낫다고 본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강동구 강일3지구 5개 단지 주민 1407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98%가 ‘신설형 제2캠퍼스 학교’ 설립에 찬성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내년 10월까지는 도시형 캠퍼스 대상 학교가 가시적으로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김나연 기자 nyc@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