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하이투자證, 부동산 PF '무더기 중징계' 폭풍전야
‘DGB그룹 차원’ 고강도 감사…“대대적 구조조정 앞두고 살얼음판”
하이투자증권이 부동산금융 부문 인력에 대한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나섰다. 한때 공격적인 부동산프로젝트(PF) 투자에 앞장 서면서 '돈방석'에 앉았던 임직원 상당수가 내부 감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무더기 징계로 통한 인력 구조조정을 예고하고 있어 여타 증권사들도 그 결과를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다.
그룹 차원 고강도 감사, 대거 중징계 위기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하이투자증권은 투자금융총괄 산하 프로젝트금융부문 등 부동산 PF 관련 부서 인력들에 대한 징계위원회를 열고 조만간 징계 수위를 결정할 방침이다. 임직원 10명 이상이 중징계 대상자로 오를 것으로 관측되는 대대적 인사 조치 절차다.
하이투자증권은 지난 8월부터 감사실을 통해 부동산 부문에 대한 내부 감사를 진행했다. 지난해 말 레고랜드 사태 이후 PF 시장이 살얼음판을 걷자 내부적으로 손실 규모 등 건전성을 따져보기 위해 강도 높은 감사를 실시했다.
이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부동산 PF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또 하이투자증권은 최근 수년간 확장해 온 부동산 PF 사업을 따져보는 사후관리실을 신설하고 실장에 DGB대구은행 출신인 오주환 실장을 선임하기도 했다.
이번 감사는 그룹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하이투자증권 모회사인 DGB금융그룹은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어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중이다. 특히 부실 우려가 높은 계열사 하이투자증권이 대상에 올랐다.
부동산 PF로 사장까지 오른 연봉킹의 추락
현재의 하이투자증권 부동산 PF 사업을 세팅한 인물은 김진영 투자금융총괄 사장이다. 부동산 IB 업계에서 사장까지 오른 입지전적의 인물로 평가 받는다. 한양증권, KTB투자증권(현 다올투자증권)을 거쳐 2013년 하이투자증권에 합류한 김 사장은 PF 사업을 키운 공로를 인정받아 2020년 말 사장으로 승진했다. 부동산 호황기였던 2018년부터 줄곧 증권사 연봉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고 지난해 65억원의 보수를 챙겨 ‘연봉킹’에 오르기도 했다. 김 사장이 이끄는 하이투자증권 부동산PF 전담팀은 다른 증권사보다 많은 연봉을 받기로 유명했다.
10여년간 이어졌던 부동산 호황을 타고 성장가도를 달렸던 김 사장도 고금리에 따른 PF 경색 위기를 피하지 못했다. 김 사장은 PF 손실 책임을 물어 이번 징계 대상에 올라 중징계 위기에 몰렸다. 다른 증권사에 다니는 자녀들에게 하이투자증권의 부동산 PF 관련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 브로커리지 수익을 몰아줬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하이투자증권은 PF 자금 조달 때 주선 역할을 맡고 고금리를 받는 후순위 대출로 실적을 올린 증권사다. 호황기에는 높은 수수료를 받고 고연봉을 누릴 수 있었지만 현재는 부실로 돌아오고 있다. 높은 리스크를 지고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써, 부동산 침체기로 돌아선 뒤 부실 우려를 키웠다. 하이투자증권은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자기자본 대비 회수의문 이하 자산 비율이 13.8%로 증권업계에서 최상위권을 기록했다. 회수의문 이하 자산이란 회수하기 어렵거나 잠정 손실로 잡아둔 자산으로 손실 가능성이 큰 자산이다.
인센티브 못 받고 짐 쌀듯..."다른 증권사들도 주목"
계약직이 많은 증권사 부동산금융 부문에 대한 구조조정은 재계약을 맺지 않는 방식으로 이뤄지지만 이번 하이증권 구조조정은 징계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향후 부동산 PF 사업을 관리 위주로 재편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내부 감사로 무더기 징계를 단행하는 건 임직원들에게 유보돼 있던 성과급(인센티브)을 내주지 않겠단 취지로 풀이된다. 증권사 임직원들은 3~5년에 걸쳐 이연해 성과급을 나눠 받는다. 과거 딜을 수임해 성과급을 받았더라도 손실을 냈다면 이연된 인센티브를 주지 않겠다는 의미다. 금융당국도 증권사 임직원의 성과급을 바짝 조이라는 입장을 낸 바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올해 1월부터 증권사 성과급 구조에 대한 지적을 이어왔다.
한 부동산 IB 관계자는 “디폴트가 난 사업장이 많아 회수하기 어려울 것을 감안해 유보됐던 인센티브를 받지 못하고 짐을 싸게 될 수 있다”며 "다른 증권사들도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는데다 검찰이나 금융당국 조사로 이어질 수도 있어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류병화 기자 hwahwa@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리 아파트값 올랐다고 좋아했는데…" 한숨 깊어진 이유
- "같은 동네인데 5억 싸다"…서울 끝자락 아파트 '대혼란'
- 300만원 나이키 신발이 7만원?…대박 기회인 줄 알았더니
- 홀로 하마스 5명 사살…마을 지켜낸 이스라엘 20대女 정체
- "당첨되면 1억 벌겠네"…검단신도시 아파트에 2만명 몰렸다
- '김치는 중국음식' 우기던 인플루언서…"얼굴이 달라졌다"
- 이영애 "가짜뉴스 선동"…'김건희 친분설' 열린공감TV에 내용증명
- '버닝썬 승리 파트너' 남편 때문에 활동 중단한 박한별, 복귀하나
- 故 표예림씨, 극단 선택 전 무더기 고소 당했었다
- 코로나 때 2부투어에 4년간 베팅…100억 광고 효과로 결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