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회사 이때 진짜 빛났다”…‘별의 순간’ 톱5 뽑은 SK하이닉스

방영덕 매경닷컴 기자(byd@mk.co.kr) 2023. 10. 11. 17: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83년 10월 창립 SK하이닉스
국내 최초 ‘16K S램’ 시험 생산
용인 클러스터 조성 등 선정돼
최태원 SK 회장(오른쪽)과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이 지난 9월 15일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공사 현장을 방문해 현황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출처=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창립 40주년을 맞은 가운데 그 동안 사업을 해오며 가장 빛났던 ‘별의 순간’ 톱 5를 꼽아 공개했다.

‘별의 순간’은 독일어인 ‘Sternstunde(슈테른슈튼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흔히 ‘운명적 시간, 결정적 순간’의 뜻으로 풀이된다.

11일 SK하이닉스에 따르면 40년 역사에서 기적적인 성장을 이뤄낸 단초가 될 결정적인 순간으로는 ▲국내 최초 16K S램 시험 생산 성공(1984년) ▲블루칩 프로젝트 가동(2001년) ▲SK하이닉스 공식 출범(2012년) ▲사상 최대 영업이익 달성(2018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시작(2022년) 등 다섯 가지가 꼽혔다.

창립 40주년을 맞아 SK하이닉스가 꼽은 ‘별의 순간’ 5 [사진출처 = SK하이닉스]
국내 최초 16K S램 시험 생산 성공
1983년 SK하이닉스(당시 현대전자산업)가 반도체 산업에 출사표를 던졌다. 대한민국에 반도체 산업이 태동하던 무렵이었다. 당시 ‘반도체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제패한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돌았고, 글로벌 유수 기업들은 ‘산업의 쌀’인 반도체 비즈니스에 뛰어들며 세계 경제, 기술 발전의 ‘판’을 흔들려 하고 있었다.

비슷한 시기 반도체 사업에 뛰어든 굴지의 전자업계 기업들과 달리, 현대전자산업은 전자산업 진출 자체가 처음이었다. 하지만 여러 난관을 뚫고 경기도 이천 제1공장을 완공한 것이 1984년 10월이었다. 그리고 해가 바뀌기 전 그해 12월 국내 최초 16K S램 시험생산에 성공했다. 회사가 생산한 반도체 굿다이(Good Die, 제대로 작동하는 칩) 1호가 탄생한 것이다.

다만 시제품 생산 뒤 양산 체제 구축은 이뤄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회사는 시행착오를 아끼지 않고 사업을 매진한 결과, 40년이 지난 현재 고대역폭메모리(HBM)와 더블데이터레이트(DDR)5 D램 등 첨단 메모리 반도체를 여럿 선보이는 주요 반도체 기업으로 성장했다.

블루칩 프로젝트 가동
[사진출처 = SK하이닉스]
2000년대로 접어들었을 때는 사업상 어려움이 컸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 위기로 발생했던 회사채 만기가 줄줄이 돌아오는 시점인데다 이미 LG반도체와의 합병으로 부채가 급증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설상가상 닷컴 버블이 꺼지면서 PC 판매가 급감해 D램 가격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회사 안팎에선 해외 매각 방법밖에 없다는 평가가 나왔지만 회사는 물러서지 않았다. 2001년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한 뒤 사명을 ‘하이닉스반도체’로 변경했다. 그리고 회사의 명운을 건 ‘블루칩(Blue Chip) 프로젝트’를 가동했다.

‘블루칩 프로젝트’는 최소한의 투자로 최대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 공정혁신 프로젝트였다. 회사는 공정을 단순화해 새 장비를 도입하지 않고 기존 장비를 개선해 투자액을 3분의 1로 줄였다. 그리고 원가 경쟁력을 높인 초미세 회로 선폭 공정 기술 개발에 성공해 다시 프로젝트 이후 활기를 되찾을 수 있었다.

SK하이닉스 공식 출범
[사진출처 = SK하이닉스]
2012년은 회사 운명을 바꾼 결정적인 해다. 당시 하이닉스반도체가 SK를 만나 SK하이닉스로 새롭게 거듭났기 때문이다. 반도체 업황이 좋지 않고 회사 실적도 부진했던 때였지만, SK는 하이닉스의 잠재력을 믿고 미래에 투자를 했다. 최태원 SK 회장은 당시 입찰 전 실무진에게 “하이닉스 인수 이후 3~4년간의 연구개발ㆍ시설 투자 등 중장기 경영계획을 세우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SK를 만난 하이닉스는 종합반도체회사로서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특히 모바일 중심으로 재편되는 IT 산업의 변화에 발맞춰 모바일 솔루션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상하고, 미래를 선도할 확실한 밑그림을 완성했다.

사상 최대 영업이익 달성
[사진출처 =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2018년 사상 최대 실적을 이뤘다. 그해 매출액 40조4451억원에 영업이익은 20조8438억원을 기록하며, 2년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회사는 이 과정에서 서버용 SSD 제품을 중심으로 신규 공정을 확대·적용해 급증하는 시장 수요에 대응했다. 또, 고용량·고사양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지속해서 개발하며 기술력을 증명했다.

세계 최고 적층 72단 3D 낸드플래시 및 세계 최고 속도 그래픽 D램 GDDR6 개발(2017년 4월), 세계 최초로 JEDEC(국제반도체표준협의기구) 규격을 적용한 DDR5 D램 개발 및 CTF 기반 96단 4D 낸드플래시 개발(2018년 11월) 등 연일 세계 최초이자 최고 스펙의 제품들을 쏟아냈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시작
[사진출처 =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더 큰 사업 도약을 위해 현재 새로운 거점을 마련하고 있다. 2019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밝힌 후 지난해부터 본격화한 것이 대표적이다. 현재 진행 중인 기초 공사가 끝나면 2027년 클러스터 내 첫 반도체 팹(공장)을 준공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앞으로 이천과 청주 캠퍼스뿐 아니라 용인 클러스터를 포함해 세 곳의 거점을 기반으로 한 ‘이·청·용’ 시대를 본격화한다.

이천은 본사 기능과 함께 연구·개발(R&D) 및 마더 팹, D램 생산기지로 선보인다. 청주는 낸드플래시 중심 생산기지로, 용인은 D램 및 차세대 메모리 생산 기지와 반도체 상생 생태계 거점으로 삼는다는 복안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반도체 삼각축 메카를 선보일 계획이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 10일 창립 40주년을 맞아 임직원들에게 회사의 미래 전략을 제시하는 자리에서 “이·청·용 삼각축이 완성되면 SK하이닉스는 이·청·용을 기반으로 세계적인 반도체 메카가 될 것”이라고 포부를 드러냈다.

최태원 SK 회장 또한 지난달 용인 클러스터 공사 현장을 방문해 “용인 클러스터는 SK하이닉스 역사상 가장 계획적이고 전략적으로 추진되는 프로젝트”라며 “도전과 혁신의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가자”고 당부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