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거치며 출가자·신학생 반토막 … 종교절벽 시대 오나
천주교 신학생도 75명 최저
저출산·젊은층 종교 기피현상
여성 종교인 급감은 더 가팔라
종교 교육기관 통폐합 불가피
코로나로 과학 우위 시대 강화
종교 공적 기능 확대 요구 커져
"요즘 시대에 누가 목숨 걸고 출가합니까. 부모를 등지고, 사회를 등지는 건데…."
대구 한 사찰에서 주지 소임을 맡은 한 스님의 하소연이다. 해인사에서 오랫동안 수행했던 스님은 "해인사뿐 아니라 전국 사찰에서 행자 보기가 쉽지 않다"며 "출가란 목숨을 걸고 하는 건데, 젊은 세대들이 목숨을 걸 만한 일인가에 대해 의문을 품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 불교 조계종 출가자는 지난해 61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991년 517명에 달했던 출가자 수는 2015년 204명으로 줄었고, 2020년에는 131명으로 100명대로 내려왔다. 2021년부터 올해까지는 3년 연속 출가자 100명 선이 깨졌다.
독신 서원을 하는 천주교도 상황이 다르지 않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는 작년 7개 교구 입학 신학생 숫자가 처음으로 100명을 밑돌아 큰 충격에 빠졌다. 입학 신학생은 1년 새 35명이 줄어 75명을 기록했다. 10년 전의 절반 수준이다. 2017년을 정점으로 꾸준히 줄더니 두 자릿수로 처음 진입한 것이다. 신부 양성을 목적으로 세워진 부산가톨릭대는 2019년부터 신학생을 모집하지 않고 있다.
코로나 3년이라는 긴 터널을 빠져나왔더니 우리 눈앞에 '종교절벽' 시대가 닥쳤다. 한국 주요 종교 모두 성직자와 출가자 감소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돼 충격파에 휩싸였다.
상대적으로 상황이 나았던 개신교에서도 위기가 감지된다. 올해 신입생 모집에서 총신대는 목회학석사 과정 신입생 343명(특별전형 포함)을 모집했지만 지원자가 321명에 그쳐 미달을 기록했다. 1980년 개교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2022년 신입생 모집 때 1.13대1로 최저 경쟁률을 기록했다가 또다시 최저 경쟁률을 경신했다. 올해 전국 신학대학원 10곳 가운데 신입생 충원에 성공한 신대원은 장로교신학대 신대원 단 한 곳뿐이었다.
국내 한 대형 교회 목사는 "2010년만 해도 총신대 신대원 경쟁률은 3.66대1로, 총신대 신대원은 재수가 기본이란 말이 있을 정도였다"며 "올해 총신대가 미달됐다는 것은 다른 신대원들도 줄줄이 미달 사태가 났단 얘기"라고 말했다.
가장 심각한 곳은 불교 최대 종단인 조계종이다. 출가 나이를 일찌감치 만 50세로 높이고, 만 51세부터 은퇴 출가자 제도를 도입했지만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특히 여성 출가자인 비구니 감소세는 더 가파르다.
'이러다 대가 끊기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은 조계종에 첫 출가장려위원회를 발족시켰다. 해인사 주지 혜일 스님을 위원장으로 하는 출가장려위는 지난달 첫 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출가의 무게를 덜어줘야 하는 것 아니냐' '절의 일꾼으로 부리는 행자의 역할을 재검토해야 한다' 등 논의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저출산과 여성의 경제력 향상, 독신 가구 증가 등으로 종교인 감소세는 어느 정도 예견된 상황이었다. 서구는 이미 오래전부터 종교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다만 하향 곡선은 예상했지만 감소 속도가 너무 가팔라 당혹감을 키우고 있다. 자칫 존폐 위기로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국 사찰은 강원을 폐교하고 있으며 가톨릭대 역시 사제 모집에 애먹고 있다. 주교회의 관계자는 "지난 코로나19 3년간 종교 관련 쇼크가 많았다"며 "바이러스의 위력으로 과학에 대한 젊은 층의 관심이 커진 반면 종교는 무력해진 상황이었다"고 진단했다. 또 공동체 생활을 기피하는 청소년과 젊은 층이 늘어날수록 종교의 앞날은 어두워질 것이라는 진단이다. 성직자·출가자 감소와 함께 종교를 믿는 인구 자체가 줄어드는 것도 적지 않은 시름을 안겨주고 있다.
박종학 조계종 교육원 연수팀장은 "예전에는 여자들이 혼자 사는 게 흠이 되고 경제적으로 어려웠는데 이제는 그렇지 않지 않냐"며 "종교의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문화를 바꾸지 않으면 젊은 층에 매력을 발산하기가 쉽지 않다"고 고민을 토로했다. 사회에 대한 종교의 공적 역할을 강화하고, 사회가 빠르게 변하는 만큼 종교도 현대적으로 진화해야 한다는 주문도 적지 않다.
[이향휘 선임기자 / 이동인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우리집 재산 200억 정도”…철없는 손녀 돈 자랑에 부정축재 들통 - 매일경제
- “전기차는 끝물, 앞으론 이게 대세”…‘체제 전환’ 비상 걸린 車업계 [박민기의 월드버스] -
- 한국은 인구소멸 걱정인데...인구 11년새 20% 늘어난 이 나라 - 매일경제
- 2만원짜리 시계차고 다닌 ‘면세점 대부’…10조 기부하고 떠났다 - 매일경제
- “이렇게 많이 팔렸어?”…삼전 반도체 3조 적자 완벽히 메운 ‘이것’ - 매일경제
- “은퇴박람회 다녀온 부모님, 노후자금 털렸어요”…투자사기주의보 - 매일경제
- [주식 초고수는 지금] 폐암 치료제 잇단 호재에...반도체株보다 더 산 이 회사 - 매일경제
- “모든 게 1위”…삼성전자, 포브스 선정 ‘세계 최고 직장’ - 매일경제
- "정권심판론 통했다" 환호 … 巨野, 내년 총선 기선제압 - 매일경제
- 황인태 심판, 한국인 최초 NBA 전임 심판 승격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