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중 반도체 규제, 아직 숙제는 남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 공장(팹)에 대해 미국산 반도체 장비 반입을 허용키로 했다.
지난해 10월 미국이 대중(對中) 반도체 장비 수출을 통제한 지 1년 만에 '한시 유예'를, '무기 허용'으로 전환됐다.
미국은 보조금 수급 시점으로부터 10년 간 중국 공장 생산능력을 첨단 반도체의 경우 5%, 구형 반도체는 10%까지만 늘릴 수 있도록 제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 공장(팹)에 대해 미국산 반도체 장비 반입을 허용키로 했다. 지난해 10월 미국이 대중(對中) 반도체 장비 수출을 통제한 지 1년 만에 '한시 유예'를, '무기 허용'으로 전환됐다. 그간 우리 정부는 미국 측과 유예 기간 연장을 협의해왔고, 이번에 별도 절차와 기한 없는 허용이라는 결과를 이끌어냈다.
다행이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 공장에서 전체 낸드 플래시의 40%를, SK하이닉스는 우시와 다롄에서 D램의 40%와 낸드의 20%를 생산한다. 반도체는 첨단 공정으로 전환하지 못하거나 대량 생산을 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다. 이번 조치로 우리 반도체 기업의 눈을 가리던 불확실성 하나는 덜어낼 수 있게 됐다.
그러나 마냥 기뻐할 수 없다. 미국 보조금을 받는 기업이 중국 내 생산능력을 확장하지 못하도록 하는 반도체 지원법은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 미국은 보조금 수급 시점으로부터 10년 간 중국 공장 생산능력을 첨단 반도체의 경우 5%, 구형 반도체는 10%까지만 늘릴 수 있도록 제한했다. 중국 내 반도체 공장을 가동할 수 있게 한다지만 그 규모는 더 이상 늘리지 말고, 지금 정도의 '현상 유지'만 하라는 얘기다.
운신의 폭이 한정된 상황에서 기업 활동이 자유로울 리 없다. 삼성과 SK하이닉스는 중국 내 반도체 사업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 것이다. 이런 와중에 중국은 미국 견제를 극복하기 위해 반도체 자립에 더 많은 인력과 자금을 투입할 것이 자명하다. 삼성과 SK하이닉스는 중국 내 손발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에서 전폭적 지원을 받는 중국 반도체 기업과 경쟁해야 한다. 아직 안도할 수 없는 이유다. 숙제는 아직 쌓여 있다. 장비 규제 완화처럼 정부의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석열-이재명 대리전'서 대패한 與… 尹·지도부 책임론 비껴갈까
- [2023 국감]과방위 “LTE·5G 통합요금제 필요”…우주항공청 초당적 협력필요
- 증권사 MTS 충성도 1위 'NH투자증권'...2위는 키움증권
- [2023 대한민국SNS 대상]채널별 차별 콘텐츠로 국민 소통 '더 가까이'
- [2023 대한민국SNS 대상]일상의 쉼을 주는 농어촌 콘텐츠 제작
- [2023 대한민국 SNS 대상]2년 연속 수상…의정활동 홍보 우수 표본
- [2023 대한민국SNS 대상]최다 SNS 채널로 전기 콘텐츠 제공
- [2023 대한민국 SNS 대상]군포, 지역 커뮤니티와 소통 선봉에 서다
- [2023 대한민국 SNS 대상]GS칼텍스, 채널별 맞춤 콘텐츠로 MZ세대·업계 '이목집중'
- [2023 대한민국 SNS 대상]한국중부발전, 친환경 에너지 비전 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