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우윳값 올랐네”…밀크플레이션에 편의점 찾는 소비자들

이상현 매경닷컴 기자(lee.sanghyun@mkinternet.com) 2023. 10. 10. 18: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원윳값 오르자 PB상품 매출 48.8%
편의점에는 인상분 반영 아직 안 돼
식음료 업계 전반이 영향받을 수도
BGF리테일에 따르면 이달 1~9일 편의점 CU의 우유 PB(자체 브랜드)상품 매출은 한 달 전보다 48.8%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제공 = BGF리테일]
원유(原乳) 가격 인상으로 인한 ‘밀크플레이션(우유+인플레이션)’이 추석 이후 본격화하면서 우유와 유제품의 소비자가격 조정이 잇따르고 있다. 적어도 연말까지는 가격 오름세가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커지면서 소비자들이 조금이라도 저렴한 편의점으로 몰려들고 있다.

10일 BGF리테일에 따르면 이달 1~9일 편의점 CU의 우유 PB(자체 브랜드)상품 매출은 한 달 전보다 48.8%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NB(일반 제조사)제품 매출은 1.9%, 우유 전체 매출은 5.0% 늘어나는 등 한 자릿수 매출신장률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PB상품의 선호 현상은 대형마트에서 NB제품의 가격이 순차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이달 1일부터 본격화했다. 편의점 출고분의 가격이 오르는 건 내달 1일부터지만, 이미 소비자들이 조금이라도 더 저렴한 상품을 구매하고자 NB제품을 외면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CU가 흰우유 카테고리에서 현재 판매 중인 PB상품은 ‘HEYROO 흰우유 1ℓ’와 ‘HEYROO 우유득템 1.8ℓ’ 두 품목이다. 이들 제품이 지난달 전체 흰 우유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6%였으나, 이달 들어 벌써 8.2%까지 성장했다고 BGF리테일은 설명했다.

이달 1일부터 서울우유협동조합과 매일유업, 남양유업이 모두 우유와 유제품에 인상된 출고가를 순차적으로 적용 중이다. 사진은 서울 시내 편의점에서 판매 중인 서울우유 제품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현재 CU에서 판매 중인 우유의 소비자가격을 살펴보면 A사의 NB제품(1ℓ)은 3200원이지만, CU의 HEYROO 1ℓ는 2500원으로 약 22% 저렴한 수준이다. 1.8ℓ 제품 역시 NB제품보다 PB상품의 가격이 29% 더 싸게 판매되고 있다.

흰 우유뿐만이 아니다. 가공유 매출에서도 비슷한 동향이 나타나는데 전월보다 NB가공유의 매출이 0.8% 오를 때 PB가공유 매출은 9.6% 성장하는 기염을 토했다. ㎖당 가격으로 비교해보면 PB상품이 40% 더 저렴한 까닭이다.

편의점 우유가 대형마트 등에서 판매 중인 제품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데는 여러 이유가 있다.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낙농진흥회 결정에 따라 인상된 가격이 편의점에는 내달부터 적용되기 때문이다. 물가 부담 완화 차원에서 유통 채널별 적용 시기를 달리한 까닭이다.

현재 대형마트 등에서 판매되는 우유의 경우, 음용유용 원유 가격이 ℓ당 1084원, 가공유용 원유 가격이 ℓ당 887원에 책정되어 있다. 전년보다 각각 88원, 87원 오른 수준이지만, 여기에 매일유업, 남양유업 등 기업들의 인상분이 또 더해지면서 소비자가격이 조정되고 있다.

또 원재료 가격 인상 등으로 공급가 조정 여력이 없는 협력사들의 부담을 덜고자 CU가 자체적으로 마진을 축소한 것도 소비자가격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됐다. 결과적으로는 가격경쟁력이 소비자 몰이에 성공한 셈이 됐다.

이번 우유 가격 인상은 낙농가와 유업계로 구성된 낙농진흥회가 음용유용 원유 가격을 ℓ당 88원 올려 1084원으로 책정한 데 따랐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BGF리테일 관계자는 “이달 NB 우유 가격이 전방위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 부담이 더욱 커지며 가격 변동이 없는 PB우유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처럼 소비자들이 당장은 편의점 PB상품을 구매하거나 ‘1+1(원플러스원)’, ‘2+1(투플러스원)’ 등 행사 상품을 구매하는 식으로 버티고 있지만, 끝내 지출 부담이 커지는 건 막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도 일부 나온다.

원윳값에 이어 매일유업이 지난 6일부터 대형마트와 할인점 등에서 생크림 제품 출고가를 5~9% 인상한 데다 기업 간 거래(B2B)에서도 인상가를 적용할 예정이어서다. 서울우유협동조합과 남양유업 등 타 기업들도 생크림 등 유제품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유제품 가격이 오르면 이를 활용하는 음료, 빵, 케이크 제작 업체도 소비자가격 인상을 고려하게 될 공산이 크다. 원유 가격 인상에서 비롯한 밀크플레이션이 식음료 제조사는 물론, 프랜차이즈 업계 전반으로도 확대될 수 있단 의미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