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해외 투자 부동산 1.3조 부실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중 1조3000억원 규모 자산에서 부실 우려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회사가 단일 부동산에 투자한 35조9000억원 중 3.7%인 1조3300억원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다만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가 해외 부동산에 투자한 규모는 총자산 대비 1% 미만으로 손실이 나도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피스 5700억·호텔 2500억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중 1조3000억원 규모 자산에서 부실 우려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회사가 단일 부동산에 투자한 35조9000억원 중 3.7%인 1조3300억원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EOD는 이자·원금 미지급, 자산가치 하락에 따른 주택 담보인정비율(LTV) 조건 미달 등으로 채무자에게 즉시 상환 의무가 발생하는 것이다.
EOD 발생 규모는 오피스가 57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호텔(2500억원), 상가(1300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금감원이 해외 부동산 투자의 부실 가능성을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이전과 비교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국내 금융회사의 전체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규모는 6월 말 기준 55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 개 펀드가 여러 부동산에 투자한 복수투자, 투자 대상을 공개하지 않은 블라인드투자까지 더한 수치다. 보험회사가 31조7000억원으로 전체의 56.8%를 차지했다. 은행(9조8000억원·17.5%), 증권(8조3000억원·15.0%), 상호금융(3조7000억원·6.7%)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5조8000억원(64.2%)으로 가장 많았고 유럽(11조원·19.6%), 아시아(4조2000억원·7.4%), 기타 및 복수지역(4조9000억원·8.7%) 순이었다. 내년까지 14조1000억원(25.4%), 2030년까지는 43조8000억원(78.6%)의 만기가 도래한다.
금감원은 고금리 지속 등에 따른 해외 부동산 시장 위축이 장기화하면 금융회사 손실이 불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가 해외 부동산에 투자한 규모는 총자산 대비 1% 미만으로 손실이 나도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文정부 수차례 묵살하더니…한전, 결국 '33조 폭탄' 터졌다
- "강남 아파트 들어갈 수 있다"…입주권 노린 '기막힌 꼼수'
- "우윳값 너무 비싼데 어떡하죠"…초등학생 엄마의 '한숨'
- 서울대 출신 男, 구글 그만두고 순두부가게 차리더니…'반전'
- '붓기 빼주는 마사지기' SNS서 광고 쏟아졌는데…반전 사실
- 유인촌도 빵 터졌다…국감장서 울려 퍼진 노래
- "부자 만나려 부자처럼 행동"…'나는솔로' 옥순, 영숙 명예훼손 고소 [전문]
- 편의점 '위장취업'하더니…1650만원 빼돌린 20대들 최후
- 교사 간곡한 요청 끝에…화천 마지막 사육곰 농장서 구조
- "희생에 감사"…육군 병장 감동케한 '빽다방 알바생'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