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폭탄' 해외부동산 투자 56조···부실 우려만 1.3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분 가운데 부실 우려가 있는 자산만 1조 3000억 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해외 부동산 투자액 55조 8000억 원의 25% 이상은 올해와 내년 만기가 도래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올 6월 말 기준 55조 8000억 원으로 총자산의 0.8% 수준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감원 "금융시스템 영향 제한적"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분 가운데 부실 우려가 있는 자산만 1조 3000억 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해외 부동산 투자액 55조 8000억 원의 25% 이상은 올해와 내년 만기가 도래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올 6월 말 기준 55조 8000억 원으로 총자산의 0.8% 수준이었다. 이 가운데 올해와 내년 만기가 도래하는 규모는 14조 1000억 원으로 25.4% 수준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이후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이 치솟은 탓에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한 자산 규모가 1조 3300억 원에 이르렀다. 기한이익상실이란 선순위 채권자에 대한 이자·원금 미지급, 자산가치 하락에 따른 담보인정비율(LTV) 조건 미달 등의 사유로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업권별로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금액은 보험이 31조 7000억 원으로 전체의 56.8%를 가장 많았고 은행 9조8000억 원(17.5%), 증권 8조3000억 원(15.0%), 상호금융 3조 7000억 원(6.7%)이 그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5조 8000억 원(64.2%), 유럽 11조 원(19.6%), 아시아 4조 2000억 원(7.4%) 순으로 많았다.
금감원은 “재택 근무 정착, 고금리 지속으로 해외 부동산 시장 위축이 장기화하면 금융사 손실도 확대될 수 있다”면서도 “금융사가 해외 부동산에 투자한 규모가 크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송이라 기자 elalala@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면도기부터 가전까지 남편에 사달라는 홀시아버지, 지긋지긋'
- '아이 XX에 똥 묻어…가슴 찢어져' 주말 '항의 문자' 보낸 학부모
- '제발 도와달라'…하마스에 나체로 끌려간 독일 여성母의 '눈물의 호소'
- '1등 되면 '2조원' 실화?'…3달 묵은 美 ‘파워볼’ 당첨금 '역대 5위'
- '주유소 실수로 '혼유'…1200만원 수리비 나왔는데 제 책임이 10%?'
- 스토킹범죄 혐의자 4명 중 1명도 실형 안 받아…집유·무죄는 증가
- 배달음식 주문하며 '내일 계좌이체할게요'…보내줬더니 '잠수'
- [이번주 증시 캘린더] 반도체 장비기업 아이엠티 코스닥 입성
- 방탄소년단 정국, 빌보드 역사 갈아치웠다…'글로벌' 차트 1·2위 동시 석권
- 4도 화상으로 얼굴 잃었지만 '희망'은 여전…19세에 '경찰관' 꿈도 이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