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이어 이스라엘·팔레스타인까지…정부, 중동정세 변화에 촉각 [이·팔 전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으로 촉발된 무력 충돌에 국제 정세가 요동치고 있다.
중국 견제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이어 이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력 충돌까지 미국의 외교정책 전선이 확장되는 데 따른 여파에 정부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중동 전쟁으로 확전 막기 위해 외교력 집중할 듯
동북아 정세에 미칠 영향 주목…재외국민 안전 심혈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으로 촉발된 무력 충돌에 국제 정세가 요동치고 있다. 중국 견제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이어 이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력 충돌까지 미국의 외교정책 전선이 확장되는 데 따른 여파에 정부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외교가는 이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력 충돌이 내년 미국 대선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중국과는 패권 전쟁을 하고 유럽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피로도가 올라간 상황에서 중동 전선이 추가된 것이다.
이번 무력 충돌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중동 정책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은 동맹인 이스라엘과 주변국의 관계를 개선하면서 외교 안정화를 꾀했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당시인 2020년 9월 이스라엘과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모로코 등 아랍권 국가와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한 ‘아브라함 협정’이 그 절정이었다. 바이든 대통령 재임 후 주요 중동 정책 중 하나인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복귀도 요원하고, 공을 들여 온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교 정상화 역시 이번 무력 충돌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생긴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동맹국인 이스라엘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고 나섰다. 미국은 앞서 이스라엘에 대한 무기 및 군사정보 지원과 최신예 핵항공모함인 제럴드 포드호를 주축으로 한 항공모함 전단을 동지중해에 배치했고, 추가 지원을 지시했다. 그러나 9일(현지시간) 하마스의 공격으로 미국인이 최소 11명이 사망했고 하마스가 이스라엘의 보복에 맞서 인질을 처형하겠다고 위협하고 있다.
동맹국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지만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이끌고 있는 연립 정부가 최근 우경화되는 것은 미국으로서도 부담이다. 이스라엘 정부는 지난 7월 사법부의 권한을 줄이는 사법개편안을 통과시키면서 독재 정권 구축을 시도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관여하는 전선이 2개로 늘어난 미국의 입장에서는 이번 무력 충돌이 중동 전쟁으로 확전되지 않도록 외교력을 최대한 집중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중동·아랍 전문가인 인남식 국립외교원 교수는 “미국의 기준으로 보기에 사법제도 개편 등 최근 이스라엘 정부가 극우화되고 있지만, (이번 무력 충돌에 대해) 일단 네타냐후 정부를 지지하지 않을 도리가 없다”며 “그렇게 되면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스라엘과 수교하고 싶지만 상황이 팔레스타인의 편을 들지 않을 수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이 이스라엘 편을 들지만 동시에 외교적으로 거중조정을 해가면서 빨리 이 무력 충돌을 종식시키는 묘수를 찾아내는 수밖에 없다”며 “그렇지 않으면 내년 대선에서 적어도 대외 정책 이슈에서는 불리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동 전선이 장기화될 경우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 중심축이 움직일 수밖에 없고, 동북아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9월 북러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북중러가 전략적 관계를 강화하고 있고 10월에는 소위 우주발사체 3차 발사를 예고했다. 이번 하마스와 이스라엘 무력 충돌이 북한이나 러시아의 외교노선에 영향을 끼칠지도 관건이다.
대통령실과 정부는 경제와 안보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며 대응하고 있다. 외교부는 이스라엘 사태 관련 재외국민보호 대책본부를, 주이스라엘 한국 대사관에는 현장대책본부를 설치했다. 현재 이스라엘 지역에는 장기체류 국민 총 570여명과 약 360여명의 관광객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일부는 대한항공 항공편을 통해 귀국이 이뤄질 예정이다.
silverpaper@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학폭 의혹’ 박혜수, 2년만 반격 “의혹제기자 명예훼손 송치”
- ‘돌싱4’ 리키, 대단하군요…하림을 사랑한다는 진심이 느껴집니다
- 배우 류준열, '2023시카고마라톤' 풀코스 완주…4시간 54분 39초의 기록
- “장원영 언니처럼 되고 싶어요”…아이브, 초통령다웠다 [고승희의 리와인드]
- 51세 고소영, 장동건과 생일 파티…"소중한 시간 고마워요"
- 힌두교 사원서 ‘알몸 명상’?…외국인 추적 나선 발리
- 43세 개그맨 손헌수, 7세연하 예비신부에 꽃반지 프러포즈
- 반나체로 하마스에 끌려간 20대女, 납치 직전 모습…"살아만 있길"
- ‘미우새’ 임영웅 “‘성공했구나’ 느끼는 순간은? 음식점에서 시킨 음식보다 서비스가 더 많
- “삼성 쓰면 ‘갤레기’냐?” 다들 아이폰 타령…성난 성시경까지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