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멈출 위기…스마트공장, 제조업 '빈 일자리' 해법"[중기 In&人]

이민주 기자 2023. 10. 10. 08: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 제조혁신 추진전략' 설계 김우중 중기부 지역기업정책관
"양적 확대→질적 고도화…민간 성공모델 발굴이 확산 관건"

[편집자주] 지방의 작은 중소기업에서 만든 부품이 하나 둘 모여 전세계적으로 인정 받는 한국산 휴대폰이 되고 자동차가 된다. 이것이 바로 중소기업의 역할이고 힘이다. [중기 In&人]에서는 한국 경제의 주춧돌 역할을 하고 있는 중소기업계의 면면을 깊이 있게 소개하고자 한다.

김우중 중기부 지역기업정책관(국장)이 세종시 중기부 청사에서 뉴스1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 News1 이민주 기자

(서울=뉴스1) 이민주 기자 = "저출산과 고령화. 지금 우리나라는 인력 부족 문제를 두고 결코 여유를 부릴 상황이 아닙니다. 지방의 제조업체에서는 경력자 한명이 퇴사하면 바로 공장이 멈춰설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2027년까지 2만5000개. 중소벤처기업부가 세운 디지털 혁신기업(스마트공장) 육성 목표다. 중기부는 최근 '신 디지털 제조혁신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제조업의 황금기'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추진전략의 전체적인 콘셉트를 잡는 역할을 한 김우중 지역기업정책관(국장)은 스마트공장이 제조업에 닥친 '빈 일자리' 위기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공장은 설계·개발, 제조 및 유통·물류 등 생산 과정에 디지털 자동화 솔루션이 결합된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해 생산성, 품질,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생산공장이다. 지난 정부에서는 스마트공장 3만개를 보급해 중소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의 기반을 마련했다.

다만 한계도 있었다. 제조 현장의 수요를 반영하지 못한 채 정부 주도의 '뿌려주기식 지원'을 펼친 결과 '기초단계'의 스마트공장 위주로 지원이 이뤄졌고 기업의 활용율도 기대 이하였다. 2021년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을 대상으로 활용률을 조사한 결과 '보통 이하'인 기업이 전체의 24.2%에 달했다. 스마트공장 기초단계는 공정 일부를 자동화하거나 공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춘 곳을 이른다.

김우중 국장은 "짧은 시간에 많은 스마트공장을 보급하려는 데 집중하다 보니 물량을 소화하는 데 매진했던 경향이 있다"며 "그러다 보니 쉽게 보급이 가능한 기초단계 중심으로 지원이 이뤄졌고 점차 이곳들을 업그레이드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했다.

이에 이번 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는 현장의 의견을 적극 청취했다. 중기부는 디지털 제조혁신 정책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올해 1월부터 '민·관 작업반'을 운영했다.

김 국장은 "처음 3~4개월은 지난 대책에 따라 보급된 스마트공장들이 제대로 기능하는지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며 "업계에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현장을 다녔고, 지자체와 테크노파크 등을 찾아 그들의 의견을 폭넓게 경청했다"고 설명했다.

신 제조혁신 추진전략의 큰 틀인 정부와 민간·지역 협력네트워크 강화와 △데이터 표준화를 통한 제조데이터 활용 생태계 조성 역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했다.

김우중 중기부 지역기업정책관(국장)이 세종시 중기부 청사에서 뉴스1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 News1 이민주 기자

겨우 방향을 잡았지만 곧바로 예산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올해 스마트공장 예산(1716억원)이 지난해(3615억원)의 반토막 수준으로 줄어든 탓이다. 재정당국에 스마트공장 보급 필요성을 적극 어필한 결과 내년 정부안(2091억원)을 올해 대비 21.8% 증액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스마트공장 확산과 고도화의 성패는 정부가 지원하는 보급을 통해 성공사례를 만들고 기업, 민간의 자발적 활용을 이끌어내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김 국장은 "민간에서 '베스트 프랙티스'(성공모델)이 나오면 확산은 시간문제다. 시장에서 기업들도 서로 상호학습하기 마련이다. 주변 사업장이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보면서 우리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며 "결국은 민간 스스로의 혁신성장 의지가 중요하다. 스마트공장 구축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개방혁 혁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스마트공장의 효율성은 '제조데이터를 얼마나 잘 활용하는가'에 달려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스마트공장이 제조업에 닥친 '빈 일자리' 문제 해결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국장은 "제조업 현장에서 인구 문제, 고령화, 저출산의 영향이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지를 살펴봐야 한다. 제조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당장 공장이 멈추게 생겼다면 그것부터 해결해야하지 않겠냐"며 "지금 우리나라의 (인력부족) 상황이 그렇게 여유로운 상태는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30~50인 미만의 작은 사업장에서는 고경력자 한명이 빠져버리면 공장을 멈춰야 하는 수준이다. 고경력자들은 언젠가는 퇴직해야 하고 젋은 사람들은 공장에서 일하려고 하지 않는다"며 "스마트공장 보급은 신입들이 일하고 싶은 현장을 만들고 공장 운영에 있어서의 경력자 의존도도 낮출 수 있는 일자리 대책이기도 하다"고 했다.

minju@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