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정신질환자 가족에 ‘독박 책임’ 보호의무자制 손봐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중증 정신질환자 50만 명 가운데 코로나로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증상이 악화되면서 강제 입원한 사례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선진국 중 정신질환자와 관련해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 제도를 시행하는 나라는 극히 드물다.
환자의 인권 보호를 위해서는 중립적이고 독립적인 국가 기관의 심사를 거쳐 강제 입원과 퇴원 결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일 정신건강의 날을 앞두고 동아일보 취재팀이 만난 정신질환자 가족들은 환자가 극도의 흥분 증세를 보이거나 흉기를 휘두르는 상황에서도 정부의 도움을 받지 못해 강력 범죄를 저지를까 조마조마하다고 호소했다. 경찰에 신고해도 보호의무자, 즉 가족이 있으면 병원비 부담이나 민원 혹은 소송 우려 때문에 적극적인 대처를 꺼린다는 것이다. 2019년부터 올 8월까지 강제 입원 18만7570건 중 정부가 개입한 비율은 32%밖에 안 되고 나머지 68%는 가족이 입원시킨 사례였다.
현실과 동떨어진 보호의무자 요건도 치료를 지연시키고 있다. 현행법상 보호의무자는 생계를 같이하는 직계혈족이나 배우자다. 부모가 연락이 안 돼 환자의 형제자매가 강제 입원을 신청해도 자격 미달이나 서류 미비 등을 이유로 거절당하는 사례가 많다. 2019년 경남 진주에서 아파트에 불을 지르고 대피하는 주민들에게 흉기를 휘둘러 22명의 사상자를 낸 안인득도 범행 1개월 전 형이 강제 입원을 시키려다 거부당했다. 안인득의 보호의무자인 노모는 당시 요양병원에 있었다.
선진국 중 정신질환자와 관련해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 제도를 시행하는 나라는 극히 드물다. 유엔은 보호의무자 제도의 폐지를 권고한다. 환자의 인권 보호를 위해서는 중립적이고 독립적인 국가 기관의 심사를 거쳐 강제 입원과 퇴원 결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가족 구조도 핵가족이나 1인 가구 위주로 변화하고 있어 환자 돌봄을 가족에게만 맡기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환자와 사회 모두를 위해 국가의 정신질환자 치료와 관리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손봐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 항모전단 파견-전투기 지원 착수… “이란, 2일 하마스 작전 승인”
- 국제유가 4% 넘게 급등… 달러화-金 투자자 몰려
- 방산주 뛰고 항공주 급락…공식대로 움직인 뉴욕증시[딥다이브]
- 北 장사정포 기습땐 韓도 이스라엘식 위기… AN-2機 저고도 침투 등 교란작전 우려도
- [단독]“文정부, ‘신재생 금융’ 6배로… 인력은 안늘려 사업 부실”
- [단독]정신질환자 보호의무자 제도, 가족에 ‘독박 책임’… 정부는 뒷짐
- 與신인들 “중진 험지출마 늘어야”… 野도 ‘다선 물갈이론’ 분출
- ‘강서’에 사활… 김기현 연일 거리유세, 이재명 퇴원하자마자 지원 등판
- [단독]“소아청소년 심장 환자 수술의사 국내 33명뿐, 2035년엔 17명만 남아”
- [횡설수설/정임수]“삼겹살로 깻잎 싸먹을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