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인 시총 9兆 늘었지만...매출 '0원' 거래소만 10곳 [코인브리핑]

한영준 2023. 10. 9. 13: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1 제공

[파이낸셜뉴스] 국내 가상자산 시장이 회복세를 보였지만 양극화가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46% 늘어났지만, 사업자의 절반은 자본잠식 상태로 집계됐다. 가상자산 이용자도 감소세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2023년 상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실태조사는 26개 거래업자(거래소)와 9개 지갑·보관업자 등 35개 신고 사업자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국내 가상자산 시총, 46% 상승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시장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지난 6월 말 기준 28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말(19조4000억원) 대비 46%(9조원) 늘어났다. 주요 가상자산의 가격이 오르고 투자심리가 회복된 덕분으로 분석된다.

실제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해 말 1만6547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기준 81% 상승한 3만441달러까지 올랐다. 글로벌 코인 시황 사이트 코인마켓캡 기준, 글로벌 가상자산 시총도 1010조원에서 1540조원으로 53% 증가했다.

가상자산 시장 회복세는 원화마켓이 주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시총 중 원화마켓 시총이 27조9000억원으로 97% 급증한 반면, 코인마켓 시총은 3% 늘어난 5000억원에 그쳤다.

다만 '크립토 윈터(가상자산 시장 침체기)' 이전인 지난 2021년 말과 비교하면 여전히 크게 위축된 상태다. 올해 6월 말 기준 시가총액(28조4000억원)은 2021년 말(55조2000억원)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가격변동성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중 가격변동성(MDD·최고점 대비 가격하락률)은 62%로 지난해 말 67%에서 소폭 감소했다. 단독상장 가산자산의 가격 변동폭은 좀 더 높아 69%로 나타났다.

금융위 관계자는 "글로벌 긴축정책 완화 기대감,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예상 등으로 상반기 가상자산 투자 심리가 회복됐다"면서도 "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규제 강화 등으로 거래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양극화 심화...거래소 10곳은 수수료 매출 없어
가상자산 시장은 회복세를 보였지만, 가상자산 사업자들의 양극화는 심해졌다. 35개 사업자들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2273억원으로 지난해 하반기보다는 82% 증가했다. 이중 26개 가상자산 거래업자의 상반기 매출액은 5752억원으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1% 감소했다.

특히, 가상자산을 원화로 거래하는 원화마켓과 가상자산으로 거래하는 코인마켓의 양극화가 두드러진다. 두 시장 사업자의 영업이익은 각각 2598억원, -325억원으로 나타났다.

흑자를 보인 원화마켓 영업이익에서도 주요 거래업자 두 곳의 영업이익이 3331억원으로, 나머지 원화마켓 사업자도 대부분은 적자 상태다. 코인마켓의 경우 사업자 21개 중 10개는 거래 수수료 매출이 전혀 없으며, 18개는 완전 자본잠식 상태다.

26개 거래업자의 일평균 거래금액은 2조9000억원으로, 대부분 원화마켓에서 발생하는 거래금액이다. 코인마켓의 거래금액은 일평균 10억원 안팎에 불과하다. 코인마켓 사업자 중 일 평균 거래금액이 100만원 이하인 사업자도 5곳이나 된다.

대기성 거래자금인 이용자 원화 예치금은 총 4조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4000억원(11%) 증가했다.

가상자산 지갑 및 보관 사업자 9개사의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98억원, 35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48%, 71%씩 줄었다.

금융위 관계자는 "코인마켓 사업자 21개 중 10개는 거래 수수료 매출이 없는 등 향후 지속적인 사업 영위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투자자 주의를 당부했다.

■상장도 늘고 상폐도 늘고...이용자는 줄었다
국내 거래소에서 유통되고 있는 가상자산은 622종(중복 제외)으로 작년 말 대비 0.5%(3종) 줄었다.

상장 가상자산 622종 중 366종은 국내 거래소 1곳에서만 거래되는 단독상장 가상자산이었고, 이중 절반인 183종은 한국인이 발행한 가상자산 또는 국내 사업자에서 주로 거래(80% 이상)되는 국내산 가상자산, 이른바 '김치코인'이었다.

단독상장 가상자산 중 34%인 124개는 시가총액 1억원 이하 소규모 가상자산으로, 급격한 가격변동과 유동성 부족 등 시장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상반기 신규 거래지원(상장) 가상자산은 169건(중복 포함)으로 작년 하반기(74건) 대비 128% 급증했다.

반면 올해 상반기에 상장폐지(거래지원 종료)된 가상자산 역시 작년 하반기(78건) 대비 47% 늘어난 115건(중복 포함)에 달했다. 프로젝트 위험(54%), 투자자 보호 위험(24%), 시장 위험(20%), 기술 위험(2%) 등의 사유가 제시됐다.

상반기 유의종목으로 지정된 가상자산은 154건(중복 포함)으로 작년 하반기(109건) 대비 41% 증가했다.

이용자는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등록 계정수는 950만개로 지난해 말 대비 228만개(19%) 줄었다. 휴면계정이 증가하고 이용자 복수 계정 폐지 등에 따라 계정 수가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객 확인 의무를 완료한 실제 이용자 수는 606만명으로 지난해 말 대비 21만명(3%) 감소했다. 개인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법인은 237개사로 0.01% 극소수에 불과했다.

연령별로는 지난해와 같이 30대 남성이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따. 전체 606만명 중 30대 이용자가 30%, 40대 이용자가 29%로 가장 많았다. 그 중에서도 30대 남성이 127만명, 40대 남성이 120만명으로 가장 많다.

보유자산 이용자의 67%가 50만원 미만을 보유하고 있다. 100만원 미만 자산 보유자 비중은 73%다. 반면 1000만원 이상 자산 보유자 비중은 49만명(8%)로 지난해 말 대비 2%p 증가했으며, 1억원 이상 보유자는 4만4000명(0.7%)이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