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관 우울증 진료 3년새 70% 증가…‘위기의 경찰’은 누가 지키나

강은 기자 2023. 10. 9. 10: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찰관 PTSD 치료 건수도 50% 증가
직무 스트레스 ‘무더기 퇴직’과도 연관
게티이미지

우울증 치료를 받는 경찰관이 최근 3년 사이 7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치료 건수도 같은 기간 50%가량 늘었다.

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이성만 무소속 의원이 경찰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경찰청 및 전국 18개 지방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들의 우울증(F32·F33) 진료 인원은 2020년 1104명에서 2021년 1471명, 2022년 1844명으로 3년 새 67% 늘어났다. PTSD 치료 인원은 2020년 46명, 2021년 57명, 2022년 67명으로 46% 증가했다. 정신질환은 없으나 병원에서 상담 등을 받은 보건일반상담(Z719)은 2020년 219명, 2021년 250명, 2022년 311명으로 42% 늘었다.

2020~2022년 경찰공무원이 우울증·외상후스트레스장애 등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현황. 이성만 무소속 의원실 제공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경찰관 수도 매년 20명이 넘는다. 자살한 경찰관 수는 2020년 24명, 2021년 24명, 2022년 21명이었다. 올해는 지난 8월 기준 17명의 경찰관이 목숨을 끊은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청이 운영하는 심리상담센터 ‘마음동행센터’를 이용한 경찰관은 올해 1~8월 1만2244명이다. 전체 경찰공무원 12만9000명의 10%에 달하는 수치다. 전국 18곳 마음동행센터에서 일하고 있는 상담인력은 36명에 불과했다. 상담사 1명당 1년에 경찰관 340명을 담당하는 셈이다.

경찰은 정신적 손상 위험이 큰 직업으로 꼽힌다. 충격적인 사건·사고 현장을 마주하거나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악성 민원 및 소송으로 영향으로 직무 스트레스도 크다. 경찰서 민원실에서 발생한 위법 건수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21년 2292건, 2022년 2602건으로 파악됐다.

직무 스트레스가 경찰공무원의 ‘무더기 퇴직’으로 이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찰공무원 퇴직 인원은 2020년 2509명에서 2021년 3048명, 2022년 3543명으로 늘고 있다. 특히 20~39세 젊은 경찰관들의 퇴직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2030 퇴직 경찰관은 2020년 133명, 2021년 216명, 2022명 209명이었다. 올해는 지난 8월 기준 242명으로, 이미 지난해 수치를 훌쩍 넘어섰다.

연령·연도별 경찰공무원 퇴직 현황. 이성만 무소속 의원실 제공

강은 기자 ee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