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째 ‘5000만원’ 예금자보호한도···이번에도 현행 유지될 듯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이후 예금자보호한도를 1억원으로 높여야 한다는 논의가 나왔지만 현행 5000만원으로 유지될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최근 국회에 예금자보호한도 상향과 관련해 향후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가 공개한 연구 용역 결과에 따르면 보호 한도를 1억원으로 상향 시 은행에서 저축은행으로 자금 이동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저축은행 예금은 16~25%가량이 증가할 것으로 추산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 “향후 시장 상황 종합 고려 검토해야”
[헤럴드경제=유혜림 기자] 올해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이후 예금자보호한도를 1억원으로 높여야 한다는 논의가 나왔지만 현행 5000만원으로 유지될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최근 국회에 예금자보호한도 상향과 관련해 향후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희곤 의원실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 5일 정무위에 보고한 ‘예금보험제도 개선 검토안’에서 “향후 찬·반 논의, 시장 상황 등을 종합 고려해 상향 여부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당장 급하게 추진할 사안이 아니라는 취지로 해석된다. 보호 한도를 높여 금융 제도 신뢰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2금융권으로의 자금 쏠림이나 예보료 인상에 따른 소비자 부담 증가를 우려하는 지적도 함께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금융위가 작년 3월부터 예보, 금융업권, 민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예금보험제도 전반을 논의한 결과다. 금융위가 공개한 연구 용역 결과에 따르면 보호 한도를 1억원으로 상향 시 은행에서 저축은행으로 자금 이동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저축은행 예금은 16~25%가량이 증가할 것으로 추산됐다.
이동 자금은 은행 예금의 1% 수준으로 전체 시장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지만, 저축은행 업권 내 과도한 수신 경쟁이 벌어질 경우 일부 소형사에는 충격이 될 수 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한도 상향 시 보호 한도 내 예금자 비율은 98.1%에서 99.3%로 1.2%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치는 등 실익도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예금을 분산 예치하고 있는 금융소비자의 편의를 제고하는 효과는 있다고 분석됐다.
6차에 걸친 민관 합동 TF 회의 주요 논의 사항도 공개됐다. 금융업권은 “현재도 예금자 대부분이 보호되고 있어 한도 상향의 소비자 보호 강화 효과는 크지 않으면서 업권 부담은 늘어날 우려가 있다”는 의견을 주로 개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연금저축, 사고보험금 등에 대한 별도 한도 적용을 추진 중이기 때문에 제도 개선의 효과를 지켜본 뒤 전체 한도 조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민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금융소비자 신뢰 제고 등 측면에서 한도 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다만 최근 미국 사례 등을 보면 한도를 높여도 뱅크런 방지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기 때문에 위기 시에는 한도 상향보다는 ‘전액 보호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결국 금융위는 이러한 다양한 찬반 논의가 이어지는 데다가 시장 불안도 가라앉지 않은 상황을 종합 고려해 신중론을 고수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보호 한도가 5000만원으로 유지되더라도 사회보장적 상품 등에 대한 별도 한도 적용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금융위는 2015년부터 확정기여형(DC형) 및 개인형(IRP) 퇴직연금의 예금에 대해 일반 예금과 별도로 5000만원의 보호 한도를 적용해왔으며, 연금저축(신탁·보험), 사고보험금,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 등에 대한 별도 보호도 시행을 앞두고 있다.
다만 국회 논의 과정이 변수가 될 수 있다. 정치권에서는 예금자 보호 한도가 2001년 이후 23년째 5000만원에 머물러 있어 경제 규모에 맞게 현실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한 상황이다.
forest@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임영웅 "무명 시절 한 달 수입 30만원…데뷔 후에도 군고구마 팔아"
- “왜 너네가 좋아해?” 한국 축구 금메달에 신난 이 프로축구팀 어디?[항저우 AG]
- “장원영 언니처럼 되고 싶어요”…아이브, 초통령다웠다 [고승희의 리와인드]
- 이토록 화려하고 강력한 춤…브레이킹, 파리에서 봅시다
- “삼성 쓰면 ‘갤레기’냐?” 다들 아이폰 타령…성난 성시경까지 나섰다
- [영상] ‘민원으로 왔나’ 경찰서 난입해 난동부린 멧돼지의 최후는
- “커피 한잔 시켜놓고 뭐하나 했더니” 전기자전거에 전동스쿠터 충전까지?
- ‘금메달리스트’ 이강인에게 가장 먼저 ‘박수·하트’ 날린 사람은 누구?[항저우AG]
- “넷플릭스였다면 ‘오징어게임’ 급인데” 미국서 참패?…‘탄식’ 쏟아진다
- ‘1983 멕시코 4강 신화’ 박종환 전 축구대표팀 감독 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