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칼럼] 수산업, 위기 딛고 한 단계 더 나아갈 때
지난 8월 24일 일본이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오염수를 바다에 흘려보내기 시작했다. 그리고 9월 11일 해양방류 1차분 약 7800t을 내보냈다. 일본과 가장 가까운 국가인 우리나라는 정부 차원에서 오염수 방류에 대하여 별다른 반대를 하지 않았다. 과학적 기준과 국제적 절차에 따라 방류되고 우리나라에 크게 문제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염수 방류 직후 진행된 각종 설문조사에서 수산물 소비를 당장 줄이겠다는 응답률이 93%에 달했고,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함으로써 지금 국민이 느끼는 불안감은 최고조에 달해 있다.
오염수 방류 직후 서울 노량진수산시장 매출이 2배 이상 늘고 우려한 만큼의 소비위축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나, 오염수가 우리나라 바다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수산물을 구매하고 온누리상품권 등의 환급행사를 통한 일시적인 소비 증가 현상으로 보인다는 분석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산업계는 방류가 이미 결정됐는데도 대책 수립보다는 공방만 벌이는 정치권에 지친 상태다. 2011년 원전 사고 당시 수산물 소비가 40% 넘게 급감한 아픈 기억이 또다시 떠올라 이제는 근심과 걱정을 넘어 절망감을 토로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또한 절박감이 최고조에 달했지만 직접적인 지원 방안은 없고 오로지 오염수가 안전하다고 홍보만 하는 정부에 대해 비판도 거세다. 이러다가는 후손에게 물려줘야 할 수산업이 사양산업으로 국민에게 인식될까 우려도 생긴다.
이미 물은 엎질러졌다. 앞으로 적어도 30년 동안, 최소 130만 t의 원전 오염수가 바다로 방류된다. 일본은 7500억 원대의 피해 지원 기금을 마련해 자국 어민을 위한 대책을 미리 마련했다. 우리 정부도 아직은 구체적인 지원 대책에 대해서 발표한 게 없지만, 내년 오염수 방류 대응에 7000억 원대의 예산을 편성했고 최근 수협 및 민간 유통업체(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와 함께 수산물 소비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으며 같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 그래도 국민 불안감이 해소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필자는 해류의 흐름과 매일 엄격하게 이루어지는 방사능 수치 검사 등에 따라 오염수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보지만, 30년이 넘게 방류될 오염수로 인해 우리에게 어떤 피해가 닥칠지 모른다는 국민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산물의 소비위축으로 이어지는 모습에 안타까운 심정이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 및 민간단체 등의 피해방지를 위한 많은 노력과 과정들이 짧은 언론보도 한 번만으로도 폄하될 수 있기에 정확한 정보와 사실을 바탕으로 보도해 주시기를 언론에도 간곡히 부탁드린다.
지금 대형기선저인망수협 소속 140여 척의 어선은 유가급등, 선원인력 부족, 수온 상승, 어획량 급감 등으로 인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으나 우리 국민에게 최고 품질의 생선을 제공하기 위해 악조건 속에서도 고군분투하며 조업 중이다. 수협 조합원은 어획하는 생선에 대해 방사능 검사를 철저히 받고 있으며, 검사에 필요한 시료 제공에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만약 우리가 어획한 생선에서 단 한 마리라도 방사능 수치가 정상범위를 넘어간다면 우리는 모든 생선을 폐기하고 위판하지 않을 것임을 국민에게 약속하며 우리 수산물은 안전하다는 우리 어업인의 확신과 신념을 믿어주시길 바란다.
‘위기는 곧 기회’라는 말이 있다. 수산물은 미래먹거리로서 블루푸드라고 일컬어진다. 우리나라는 국민 1인당 수산물 섭취량이 연간 70㎏에 달하며 수산물 소비량 세계 1위 국가이기도 하다.
이렇게 우리 수산물이 국민에게 호감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듯, 지금과 같은 큰 위기에도 불구하고 수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우리 어업인이 마음 놓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정부는 심도 있고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과 지원으로 어업인의 절규를 외면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