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스-이스라엘, 왜 지금 전쟁으로 터져 나왔나…갈등 불씨 누적됐다

김서영 기자 2023. 10. 8. 15: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8일(현지시간)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파괴된 모스크를 살펴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한 배경에는 최근 1년 간 극적으로 누적돼 온 갈등이 자리한다. 이스라엘 역사상 가장 오른쪽으로 치우친 베냐민 네타냐후 정부가 사법개편안 갈등·정착촌 확대 등 내우외환의 불씨를 키우며 공격의 틈새를 열어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가자지구를 둘러싸고 벌어진 이번 충돌에 앞서 ‘전조 단계’가 연이어 벌어졌다. 올 한 해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공격과 반격을 거듭 주고받으며 적대감을 키워왔다. 지난해 말 재집권한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이스라엘 정착촌 확대,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차별적 조치 등을 천명하자 이로 인한 물리적 충돌이 끊이지 않았다.

유엔 통계에 따르면, 올 초부터 지난달 19일까지 이스라엘 군대나 정착민들에 의해 살해된 팔레스타인인은 227명이며 그중 대부분(189명)이 서안지구에서 희생됐다. 지난 8월말 기준 양측 갈등으로 사망한 이스라엘인은 최소 29명이다.

지난 1월26일 제닌에서 이스라엘군이 군사작전을 벌여 팔레스타인인 9명이 숨지는 등 유혈사태로 올 한해가 시작됐다. 바로 다음 날 팔레스타인 총격범이 동예루살렘의 한 유대교 회당에서 총기를 난사했고, 이로 인해 아동을 포함해 7명이 사망했다. 당시 하마스는 “제닌 학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자 저항의 활력을 보여준다”며 사살된 총격범을 치하했다.

이어진 봄 역시 ‘피의 계절’이었다. 지난 3월에는 이스라엘 보안군(IDF)이 팔레스타인 무장세력을 추격하던 중 자전거를 탄 14세 소년에 총을 쏴 살해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슬람 성월 라마단인 지난 4월 초에는 이스라엘 경찰이 예루살렘 구시가지를 습격해 수류탄을 던지고 최루가스를 살포하며 무슬림을 공격했다. 한 달 후 이스라엘은 이슬람 무장단체를 겨냥해 가자지구를 기습적으로 공습했다. 이로 인해 10명 이상이 숨졌다.

여름을 거치며 무력 대치의 수준이 높아졌다. 이스라엘은 제닌에서 여러 차례 공습을 벌였으며, 2000년대 초 2차 인티파다 이후 처음으로 서안지구에 아파치 헬기를 배치했다. 또한 2006년 이후 처음으로 서안지구에서 드론 공격을 감행했다. 지난 7월3일엔 이스라엘군이 병력 약 1000명을 동원해 20년만의 최대 규모 작전 개시해 팔레스타인인 약 90명이 죽거나 다쳤다.

지난달은 전면적 갈등에 대한 우려가 본격적으로 커진 시점이다. 지난달 4일 이스라엘 국경수사관은 선적에 숨겨진 폭발물을 발견하고 가자지구가 서안지구로 수출하는 모든 물품의 통과를 금지시켰다. 이는 그렇지 않아도 높은 실업률과 생활고에 시달리는 가자지구의 생명선을 끊어놓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우려를 샀다.

이에 하마스는 높은 경계 태세를 갖추고 다른 무장단체들과 함께 현장 훈련을 했다. 당시 훈련에는 로켓 발사 연습, 매복, 정착촌 돌격 등이 포함됐다.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는 그때부터 국경 지역에서 시위가 재개됐다는 것이다. 하마스는 청년들이 이스라엘과 가자지구를 분리하는 장벽을 따라 시위를 벌일 수 있도록 허용했다. 지난달 13일에는 팔레스타인인 5명이 장벽에서 폭발물을 터뜨리려다 사망했다.

하마스의 정치 및 국제관계 담당자 바젬 나임은 지난달 WP와 인터뷰에서 “그동안은 조용했지만 이제 끓어오르기 시작했다. 물 아래에는 엄청난 압력이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그러다 결국 유대교 기념일인 지난 7일을 틈타 하마스는 ‘알아크사 홍수 작전’을 개시하며 이스라엘에 대대적인 공격을 가했다. 이 날을 택한 이유는 이스라엘에 가장 큰 트라우마를 주기 위해서라는 분석이 나온다. 하마스는 이번 작전이 “최근 이스라엘의 서안지구 공습, 예루살렘의 성지 알아크사 모스크에서의 폭력 사태에 대한 대응”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하마스가 이스라엘이 약해진 틈을 파고들었다고도 분석한다. 네타냐후 총리가 사법개편안을 추진하자 이스라엘에선 사상 최대 규모의 시위가 벌어지고 예비군들이 훈련을 거부하는 등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중동 전문가 스티븐 쿡 선임연구원은 이날 미 외교협회(CFR)에 발표한 글에서 “이란과 하마스 등의 무장 세력들은 이스라엘이 약해지고 분열됐다고 판단하게 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 싱크탱크 애틀랜틱 카운슬의 리처드 르배런 선임연구원은 하마스의 공격이 이스라엘에 대한 도발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한다고 짚었다. 그는 “이 전쟁에는 승자가 없다. 수백명이 죽을 것이고, 가자지구는 다시 한번 엄청난 파괴를 겪게 될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하마스는 이스라엘 지도부와 군대, 정보기관을 심하게 당황하게 했다. 하마스에게는 그것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고 밝혔다.


☞ ‘알아크사 홍수’ 작전에 ‘철의 검’ 작전으로 맞붙은 중동의 화약고
     https://www.khan.co.kr/world/mideast-africa/article/202310081717001


☞ 아이언돔도, ‘최첨단’ 감시망도 뚫렸다···“이스라엘 안보 대참패”
     https://www.khan.co.kr/world/mideast-africa/article/202310081327001

김서영 기자 westzer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