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 욘 포세 “글쓰기는 일종의 듣기…난 여전히 안식처에서 쓰는 열두 살 소년” [김용출의 문학삼매경]

김용출 2023. 10. 6. 07:3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벨문학상에 노르웨이 욘 포세
소설가로 시작해 희곡서 돌파구 찾아
치밀한 구상 대신 최소한의 취재 선호
시·에세이·번역 등 다양한 장르서 활약
국내선 ‘아침 그리고 저녁’ 등 번역 출간

“저는 처음에는 시인이자 소설가로 출발했지만, 희곡을 쓰기 시작하면서 돌파구가 찾아왔습니다. 15년 동안 기본적으로 연극만을 위해 글을 썼죠.” 소설로 먼저 데뷔했지만, 극작을 시작한 이후 현대 연극의 최전선을 이끄는 동시대 최고 극작가의 반열에 오른 그는 언젠가 언론 인터뷰에서 말했다. “그것은 나에게 큰 놀라움이었고, 처음에는 약간의 모험이었어요. 저는 주로 여름에 희곡을 썼지요. 남은 한 해 동안 해외 극장을 돌아다니며 인터뷰를 하는 등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5일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노르웨이의 극작가 욘 포세는 현대 희곡뿐 아니라 소설과 시, 아동문학, 번역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글쓰기를 선보여온 북유럽 문학의 기수다. 현재 희곡에 중심으로 소설과 산문 등 다양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1994년 첫 희곡 『그리고 우리는 결코 헤어지지 않으리라』를 발표해 무대에 올린 이래 『누군가 올 거야』, 『밤은 노래한다』, 『어느 여름날』, 『가을날의 꿈』, 『나는 바람이다』 등 많은 희곡 작품을 창작했다.

특히 1998년 희곡 『누군가 올 거야』가 프랑스에서 초연된 이후 2000년부터 독일에서 그의 작품이 지속적으로 공연돼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의 희곡들은 전 세계 무대에 900회 이상 공연됐다. 『인형의 집』을 쓴 헨리크 입센(1828~1906) 다음으로 많이 무대에 올렸다.

많은 작품에서 빙하의 침식으로 형성된 좁고 긴 협만인 피오르드가 배경이 되고, 바다라는 대자연과, 외부와 격리된 외딴집과, 오래된 사물들이 자주 등장하는 것이 인상적이다. 그는 독일어판의 희곡집 『가을날의 꿈 외』에서 말했다.

“내가 쓰는 모든 것의 토대가 되는 것은 해변의 바에서 들려오는 소리, 가을의 어둠, 좁은 마을길을 걸어 내려가는 열두 살짜리 소년, 바람 그리고 피오르드를 울리는 장대비, 불빛이 새어 나오는 어둠 속의 외딴집, 어쩌면 자동차 한 대가 지나간… 이러한 것들이다.”

정민영 한국외대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포세의 작품들은 가족, 이별, 죽음, 사랑 등 보편적인 소재를 굉장한 문학성으로 형상화해 인간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묻는다”며 “특히 포세의 희곡들은 행간의 여백이 커서 거의 시로 읽히기도 한다”고 평했다.

포세는 희곡 외에도 소설과 시, 에세이, 아동문학, 번역까지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다채로운 글쓰기로 유명하다. 극작가로 데뷔하기 10년 전인 1983년 장편소설 『레드, 블랙』을 발표하면서 소설가로 활동을 시작해 『이름』, 『기타맨』, 『멜랑콜리아』, 『잠 못 드는 사람들』, 『올라브의 꿈』 등의 소설을 발표했다.
대표 소설의 하나인 『멜랑콜리아』는 노르웨이 출신의 화가 라스 헤르테르비그의 비극적 일생을 형상화한 작품으로, 간결하고 음악적인 언어와 제자리를 맴도는 듯한 불투명한 서사를 통해 본원적 불안과 생명을 향한 희구를 절묘하게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았다.

문학동네는 자료에서 “리듬과 침묵에 대한 글쓰기로 평가받으며, 군더더기를 극도로 배제한 구성, 리얼리즘과 부조리주의 사이에 있는 반복화법이 특징”이라고 그의 작품 세계를 설명했다.

그의 희곡과 소설, 시, 에세이 등은 전 세계 50여 개국에서 번역 출간됐다. 국내에도 희곡집 『가을날의 꿈 외』(지만지드라마), 소설 『아침 그리고 저녁』(문학동네), 3부작 중편 연작소설 『잠 못 드는 사람들』(새움), 동화 『오누이』(아이들판) 등이 번역 출간됐다. 그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기 전에 이미 뉘노르스크문학상, 브라게상 명예상, 국제입센상, 프랑스 공로훈장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포세가 글쓰기를 시작한 것은 열두 살부터였다. 처음에 쓴 것은 시와 단편소설. 그리고 스무 세살 때 처음으로, 마침내 소설을 발표했다. 글쓰기는 이후 그의 삶의 안식처가 됐고, 그곳에서 그는 영감을 받아적는 열두 살 소년이었다.

“저는 글쓰기를 시작하기 전에 아무것도 계획하지 않거나 아주 적은 것만을 선호합니다.” 글쓰기의 방법과 관련,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치밀한 취재와 구상이 아닌 최소한의 취재와 계획을 바탕으로 한 희곡이나 소설 쓰기를 선호한다고 고백했다. “저에게 글쓰기는 일종의 듣기이거든요. 제가 뭘 듣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듣고 있어요! 그리고 그 글은 어느 정도 저절로 쓰여집니다. 저는 종종 어느 순간 제가 쓰고 있는 내용이 이미 쓰여졌다는 느낌, 그것이 사라지기 전에 적어두기만 하면 된다는 느낌을 자주 받아요. 아니면 이미 존재하는 텍스트를 찾아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들 때도 있고요.”
1959년 노르웨이의 해안도시 헤우게순에서 태어나서 자란 그는 일곱 살 때 심각한 사고로 목숨을 잃을 뻔 했다. 이 경험은 나중에 성인기 글쓰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베르겐대학에서 비교문예학을 전공했고, 호르달란 문예창작아카데미에서 강사로 활동했다. 현재 오스트리아 비엔나 외곽의 작은 마을에서 슬로바키아 출신의 두 번째 아내와 살고 있다.

“저는 12살에 글쓰기를 시작했고, 시와 단편소설을 썼습니다. 여러 면에서 저는 아직도 앉아서 글을 쓰고 있는 열두 살짜리 소년입니다. 그때 저는 이미 글쓰기가 저에게 일종의 안식처를 제공한다는 것을 느꼈지요. 저는 글쓰기의 공간, 그 장소에 머무르는 것을 좋아했어요.”

김용출 선임기자 kimgija@segye.com, 사진=AP∙연합뉴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