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외국인 특허출원 증가…표준특허로 기술 선점해야"

신채연 기자 2023. 10. 6. 06:00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최근 외국인이 국내에 출원하는 특허 건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술 선점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산업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 정책과 기술거래 생태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최근 특허 출원 동향과 기술선점 전략'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국내 특허 출원 건수는 통계가 집계된 1948년 169건에서 출발해 1990년대 초반 이후 급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5년간 특허 출원 건수는 2018년 약 21만 건에서 지난해 약 23만 8천 건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허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에 접수된 외국인 출원 건은 총 5만3천885건으로 전체의 약 22.7%를 차지했습니다. 미국이 1만7천678건(3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뒤로 일본 1만3천860건(27%), 유럽 1만2천936건(25%), 중국 6천320건(1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 대비 지난해 증가율을 살펴보면 미국이 ▲14%로 가장 높았으며, 유럽 ▲3.9%, 중국 ▲0.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5년간(2018년~2022년) 한국 특허청에 접수된 외국인 특허출원건수 연평균증가율은 중국 19.1%, 미국 8.0%, 유럽 0.5% 순입니다.

美퀄컴 기술선점 성공…韓디지털캐스트 MP3로 선점 실패
보고서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특허를 통한 독점적 권리를 확보하는 것은 기업의 생존과도 직결된다면서 기술선점의 성공·실패사례로 미국 퀄컴사와 한국의 디지털캐스트사를 비교했습니다.

퀄컴은 '스냅드래곤'이란 브랜드의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 모뎀칩 등을 제조·판매하는 업체이지만, 퀄컴은 이동통신 표준기술인 CDMA, WCDMA, LTE 등과 관련해 '표준필수특허'를 보유함으로써 매년 약 11조원의 특허수수료를 올리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

또 퀄컴의 표준필수 특허 때문에 칩셋 설계 업체나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휴대폰의 가장 기본적 통신 기능을 위한 모뎀 칩셋을 설계, 탑재하기 위해 퀄컴에 막대한 기술 로열티를 제공하고 있다고 부연했습니다.

반면 1997년 한국의 벤처기업 디지털캐스트는 MP3 디지털 파일을 재생하는 MP3플레이어 원천기술을 개발했지만, 국내 특허 무효소송 공격 등 기업간 분쟁으로 국내 특허 권리범위가 축소됐다고 보고서는 설명했습니다.

이후 디지털캐스트는 특허료 미납으로 권리가 소멸된 후 미국 다이아몬드 멀티미디어에 인수합병돼 로열티를 받지 못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GMID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 디지털캐스트 MP3 플레이어의 특허권이 유지됐다면 2005년~2010년 동안 약 27억달러(약 3조1천500억원)의 로열티 수익을 확보했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보고서는 기술을 특허로 등록해 독점적인 권리를 확보하는 것이 기술선점의 핵심 전략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허는 발명자나 기업에 경제적인 이익을 제공하며, 특허를 통해 기술적인 우위를 확보하고 시장에서 독점적인 입지를 유지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퀄컴처럼 표준특허를 획득하면 해당 기술을 이용하지 않고는 관련 제품의 제조·판매·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해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으므로 기술무역수지도 개선될 수 있다고 보고서는 부연했습니다.

한경연 "M&A 등 다양한 기술거래 마련해야"
보고서는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디지털 전환과 신기술 개발이 빠르게 일어나면서 기술 획득을 위해서는 자체 개발뿐만 아니라 기술거래를 통해 적극적으로 외부기술을 도입해 핵심 기술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업 인수합병(M&A), 투자연계형 기술거래, 경상실시료 등 기업이 선호하는 다양한 기술거래 방식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도 전했습니다.

또한 국내 기업들의 기술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민간 중개기관을 육성하고, 기술거래 중개기관의 효율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규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국내 기업결합은 제도 도입 당시의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M&A 심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고, 글로벌 기준과도 맞지 않는 한계가 지적돼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기존 규제 위주의 정부 정책에서 벗어나 기술거래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