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지린성 발굴 유구, 고구려 불교 계승한 발해 팔각목탑지”

이소연 기자 2023. 10. 6.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7∼2022년 중국 지린성 '구청춘(古城村) 2호 사원지'에서 발굴된 팔각형 유구가 "고구려의 불교 문화를 계승한 발해 팔각목탑지"라는 분석이 나왔다.

양 교수는 "같은 시기 조성된 것으로 조사된 중국 남북조의 절터에선 팔각목탑지가 나온 사례가 없고, 사각형 탑지만 출토됐다"며 "이를 토대로 구청춘 2호 사원지가 고구려의 불교 문화를 이어받은 발해의 사찰임을 유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양은경 부산대 고고학과 교수
“강돌로 기단 만든뒤 흙 쌓는 기법
中과 다른 고구려 특유의 축조법”
2017∼2022년 중국 지린성 ‘구청춘(古城村) 2호 사원지’에서 발굴된 팔각형 유구. 고구려 양식의 목탑지로, 발해가 고구려의 불교 문화를 계승한 증거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 출처 중국문물보(中國文物報)
2017∼2022년 중국 지린성 ‘구청춘(古城村) 2호 사원지’에서 발굴된 팔각형 유구가 “고구려의 불교 문화를 계승한 발해 팔각목탑지”라는 분석이 나왔다. 지금까지 팔각목탑지는 평양의 정릉사지(定陵寺址)를 비롯한 고구려 절터에서 주로 확인돼 왔다. 이 때문에 국내 학계에선 이 유적이 발해의 불교 문화가 고구려를 계승했음을 입증할 핵심 증거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유구는 지금까지 발굴을 통해 드러난 유일한 발해 목탑지다.

양은경 부산대 고고학과 교수는 지난달 21일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이 주최한 국제학술대회 ‘동아시아 고대 사원의 최신 발굴 성과 및 새로운 이해’에서 ‘발해 팔각건물지의 구조와 계통’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구청춘 2호 사원지 발굴조사를 주도한 중국 지린성문물고고연구소(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에 따르면 이 유구는 한 변 길이 약 7m, 지름 약 20.3m 규모다. 평면이 8각형 구조로 조성된 이 유구의 기단은 토성혼축(土城混築) 방식으로 조성됐다. 이 방식은 강돌로 기단을 만든 뒤 흙을 쌓는 고구려의 대표적인 축조 기법이다. 흙으로만 쌓아 올린 토축(土築) 기법으로 조성된 중국 당나라 건물지와는 구별된다. 양 교수는 “탑의 상단부가 소실돼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긴 어렵지만 하단 기초부의 배치와 구조, 축조 기법만으로 고구려 팔각목탑지와의 유사성이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지린성문물고고연구소 역시 처음엔 이 팔각형 유구를 불전으로 봤으나, 지난해 발굴 성과 보고회에서 팔각목탑지로 수정했다.

팔각목탑지는 그동안 평양 일대의 정릉사지, 청암리사지, 상오리사지와 황해북도 토성리사지 등 5세기 후반∼6세기 조성된 고구려 절터에서 확인돼 왔다. 양 교수는 “같은 시기 조성된 것으로 조사된 중국 남북조의 절터에선 팔각목탑지가 나온 사례가 없고, 사각형 탑지만 출토됐다”며 “이를 토대로 구청춘 2호 사원지가 고구려의 불교 문화를 이어받은 발해의 사찰임을 유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발해의 고구려 계승을 부정하는 중국 측의 역사 인식에 반하는 해석이다.

이 절터는 발해 왕실과 관련된 격 높은 사찰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왕실 기와를 만들 때 쓰였던 녹유(綠釉·유약의 일종) 기법으로 제작된 기와와 일부 왕실급 불교 유물이 출토된 까닭이다. 사원지에서 서쪽으로 약 100m 거리엔 발해 시기 성으로 쓰였던 온특혁부성(溫特赫部城)이, 동북쪽으로 4㎞ 거리엔 발해의 도성 팔련성(八連城)이 자리한다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이 절터에선 팔각목탑지뿐 아니라 불전과 강당 등 8개 유구가 확인돼 발해 절터로는 최초로 가람의 배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하트 모양이 뒤집한 것처럼 생긴 ‘연화문(연꽃무늬) 수막새’도 대거 나왔다. 이는 대표적인 발해 기와 양식으로 꼽혀 학계에선 이 유적을 발해 사찰로 본다.

이소연 기자 always99@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