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지린성 발굴 유구, 고구려 불교 계승한 발해 팔각목탑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7∼2022년 중국 지린성 '구청춘(古城村) 2호 사원지'에서 발굴된 팔각형 유구가 "고구려의 불교 문화를 계승한 발해 팔각목탑지"라는 분석이 나왔다.
양 교수는 "같은 시기 조성된 것으로 조사된 중국 남북조의 절터에선 팔각목탑지가 나온 사례가 없고, 사각형 탑지만 출토됐다"며 "이를 토대로 구청춘 2호 사원지가 고구려의 불교 문화를 이어받은 발해의 사찰임을 유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돌로 기단 만든뒤 흙 쌓는 기법
中과 다른 고구려 특유의 축조법”
양은경 부산대 고고학과 교수는 지난달 21일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이 주최한 국제학술대회 ‘동아시아 고대 사원의 최신 발굴 성과 및 새로운 이해’에서 ‘발해 팔각건물지의 구조와 계통’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구청춘 2호 사원지 발굴조사를 주도한 중국 지린성문물고고연구소(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에 따르면 이 유구는 한 변 길이 약 7m, 지름 약 20.3m 규모다. 평면이 8각형 구조로 조성된 이 유구의 기단은 토성혼축(土城混築) 방식으로 조성됐다. 이 방식은 강돌로 기단을 만든 뒤 흙을 쌓는 고구려의 대표적인 축조 기법이다. 흙으로만 쌓아 올린 토축(土築) 기법으로 조성된 중국 당나라 건물지와는 구별된다. 양 교수는 “탑의 상단부가 소실돼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긴 어렵지만 하단 기초부의 배치와 구조, 축조 기법만으로 고구려 팔각목탑지와의 유사성이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지린성문물고고연구소 역시 처음엔 이 팔각형 유구를 불전으로 봤으나, 지난해 발굴 성과 보고회에서 팔각목탑지로 수정했다.
팔각목탑지는 그동안 평양 일대의 정릉사지, 청암리사지, 상오리사지와 황해북도 토성리사지 등 5세기 후반∼6세기 조성된 고구려 절터에서 확인돼 왔다. 양 교수는 “같은 시기 조성된 것으로 조사된 중국 남북조의 절터에선 팔각목탑지가 나온 사례가 없고, 사각형 탑지만 출토됐다”며 “이를 토대로 구청춘 2호 사원지가 고구려의 불교 문화를 이어받은 발해의 사찰임을 유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발해의 고구려 계승을 부정하는 중국 측의 역사 인식에 반하는 해석이다.
이 절터는 발해 왕실과 관련된 격 높은 사찰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왕실 기와를 만들 때 쓰였던 녹유(綠釉·유약의 일종) 기법으로 제작된 기와와 일부 왕실급 불교 유물이 출토된 까닭이다. 사원지에서 서쪽으로 약 100m 거리엔 발해 시기 성으로 쓰였던 온특혁부성(溫特赫部城)이, 동북쪽으로 4㎞ 거리엔 발해의 도성 팔련성(八連城)이 자리한다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이 절터에선 팔각목탑지뿐 아니라 불전과 강당 등 8개 유구가 확인돼 발해 절터로는 최초로 가람의 배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하트 모양이 뒤집한 것처럼 생긴 ‘연화문(연꽃무늬) 수막새’도 대거 나왔다. 이는 대표적인 발해 기와 양식으로 꼽혀 학계에선 이 유적을 발해 사찰로 본다.
이소연 기자 always99@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한클릭’ 매크로, 실행에 단 5분…예매·응원 등 조작 일상화
- 미 보수층 53% “北 침공 때 南 방어 반대”… ‘트럼프’만 위협 아니다[사설]
- 자기 땅에 도로 내고, 친구에게 용역 주고… 기막힌 토착 비리[사설]
- 비자발적 퇴직연령 평균 49세… 이제 ‘인생 2모작’은 필수[사설]
- [횡설수설/서정보]일상화한 매크로 조작, 안 막나 못 막나
- [광화문에서/박희창]한전 하루 이자 비용만 118억… 시급한 전기료 결정 독립 기구
- [특파원칼럼/조은아]영국에 불어닥친 ‘이민자 허리케인’
- 북-러 밀착, 다각도의 외교 대응력 시험대 올랐다[동아시론/박노벽]
- 노벨문학상에 노르웨이 작가 욘 포세
- 판 커진 강서구청장 보선…여야 어디에 유리하나[중립기어 라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