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모순을 무대에 펼친 '21세기 사뮈엘 베케트'

김유태 기자(ink@mk.co.kr), 김형주 기자(livebythesun@mk.co.kr) 2023. 10. 5. 22: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벨문학상 욘 포세 작품세계
1994년 처음 쓴 희곡 이후로
30년만에 최고 문학상 영예
소설·시 등 장르 넘나들며
"삶의 본질 묻는 여백의 언어"
"냉정하고 맑은 지적 작품" 評
노르웨이 서안 오두막에 거주
시골서 운전중 수상전화 받고
"벅차고, 무섭기도 하다" 소감
2019년 9월 6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촬영한 욘 포세의 모습. 연합뉴스

"말할 수 없는 이야기를 표현하는 혁신적인 희곡과 산문."

스웨덴 한림원은 2023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욘 포세의 작품을 이렇게 평가했다. 한림원은 5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포세는 언어적, 지리적 측면에서 강력한 지역적 유대관계를 모던한 예술기법과 결합했다"며 "그는 선대 작가들의 부정적 견해를 공유하지만, 세상에 대한 허무주의적 경멸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그의 작품엔 실제로 따뜻함과 유머가 넘친다"고 설명했다.

노르웨이 작가 포세는 5~6년 전부터 꾸준히 노벨 문학상 유럽 후보로 거론돼온 거장이다. 그는 비교문학 전공자로 희곡, 소설과 시, 에세이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문학적 삶을 이어왔다. 한국에 출간된 작품은 약 7권으로 2018년 번역된 소설 '저 사람은 알레스'가 처음이었다. 한 여인이 창가에서 해안가로 나가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회상하는 첫 장면으로 열리는 소설로 "그가 사라지고 돌아오지 않은 이후로 예전과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문장으로 시작된다. 인간의 본질적 상실감, 외로움과 불안을 은유한 작품이다. 노르웨이 해안도시 헤우게순 출신인 작가의 삶이 반영된 작품이다.

장르 초월적 글쓰기를 이어왔지만 포세의 주요 장르는 희곡이었다. 특히 그의 희곡 세계를 움켜쥐는 두 키워드는 '가족과 인생'이다. 현대사회의 보편적 삶과 그 안에 찌든 모순을 발굴해 무대 아래 관객에게 삶의 실체를 보여주는 희곡을 써왔다. 대표작 '이름'은 현대 사회 최소 단위인 가족의 단절을 그린다. 오랜 시간 출가했던 딸이 임신한 채 귀가하지만 그들 사이에는 소통이 부재하고 자주 엇갈린다.

또 다른 희곡 '가을날의 꿈' '어느 여름날' '겨울' 등도 대표작으로 꼽힌다. "내 평생 하나의 질문과도 같았어. 하나의 외침과도 같았어. 우린 서로를 발견했고 우리가 서로를 발견했던 것처럼, 그렇게 갑자기 우린 서로를 떠나야 했어. 하지만 그게 인생이지"라는 희곡 속 문장은 인간의 운명과 모순이란 하나의 질문으로 수렴되는 그의 작품을 응축해낸다.

정민영 한국외대 교수는 "포세 작품은 삶의 본질을 묻는 깊은 여백의 언어"라며 "굵은 윤곽으로 이뤄진 담담한 그림, 그 사이 여백에 인간의 삶이 가진 구체적인 모습이 존재한다. 그것은 현대인이 만들어내는 의사소통 부재의 사회적 관계이기도 하며, 인간 의식 속에 존재하는 무형의 원형질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노벨 문학상 수상이 확정된 뒤 소식을 알리는 한림원의 전화가 걸려온 순간, 포세는 시골 지역에서 운전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포세는 같은 시간 스웨덴 출판사를 통해 "벅차고 다소 무섭기도 하다"며 "노벨 문학상은 다른 고려 없이 무엇보다도 문학이기를 목표로 하는 문학에 주는 상이라고 여긴다"고 덧붙였다. 그는 노르웨이 서안 오두막에서 거주 중이라고 외신은 전했다.

1959년 노르웨이 해안도시에서 태어난 그는 하르당에르피오르에서 성장했다. 데뷔작은 24세 때인 1983년에 쓴 소설 '레드, 블랙'이었고, 이후 '보트하우스' '병 수집가' '납 그리고 물' '멜랑콜리아' 등을 냈다. 그에게 노벨상의 영예를 안겨준 희곡을 처음 발표한 건 30년 전인 1994년으로 '그리고 우리는 결코 헤어지지 않으리라'라는 작품이었다. 이후 '이름' '기타맨' '어느 여름날' '가을날의 꿈' 등을 발표하며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포세의 희곡은 전 세계 무대에서 900회 이상 발표됐다. 그는 헨리크 입센 이후 가장 성공한 노르웨이 극작가로 평가받는다. 노르웨이어 최고 문학작품에 주어지는 뉘노르스크 문학상, 스웨덴 한림원이 북유럽 소설에 주는 도블로우그상, 또 브라게상, 국제입센상, 프랑스 공로훈장, 세인트 올라브 훈장 등을 모두 휩쓸었다. 영국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포세를 "살아 있는 100인의 천재 중 한 명"이라고 일컬었다.

포세의 책을 번역해온 홍재웅 한국외대 교수는 이날 통화에서 "포세의 작품에는 감성주의가 들어설 여지가 없는 냉정하고 맑은 지적 언어와 문체가 깃들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포세가 쓰는 이야기는 거대한 사회 비판, 스펙터클한 서사가 아닌 지극히 일상적인 사건인데 그런 점에서 한림원의 경향이 바뀌어 간다는 느낌이 든다. 내면적 성찰, 삶과 죽음의 문제를 써낸 작품이 한림원 선택을 받았다"고 이번 수상 결과를 평가했다.

한국에서 출판을 앞둔 포세의 작품은 이달 20일 민음사에서 1·2권 합본으로 출판되는 '멜랑콜리아'다. 빛을 사랑했지만 그늘진 인생을 살아야 했던 예술가 라스 헤르테르비그가 독일의 한 예술 아카데미를 찾아간 뒤 정신착란을 일으키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포세는 동화책을 쓰기도 했는데 그의 작품 '오누이'는 한국에서도 출판됐다. 노르웨이 피오르 마을에 사는 5세 아이가 잔잔한 바다에 비친 풍경을 보면서 세상을 관조하는 이야기다. 당분간 출판계는 노벨 문학상 특수를 누릴 것으로 예상된다.

[김유태 기자 / 김형주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