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말글살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마르고 닳도록 입고 다니던 청바지가 버스에 앉는데 찍 하고 찢어졌다.
천을 덧대어 오버로크해서 버텼으나, 오래 못 가 뒷무릎까지 찢어졌다.
'天'이란 한자에 '하늘 천'이라고 적어두면 자습하기 편하겠다 싶었다.
'ㄱ'도 기윽이라 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윽'이라는 한자가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말글살이]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마르고 닳도록 입고 다니던 청바지가 버스에 앉는데 찍 하고 찢어졌다. 천을 덧대어 오버로크해서 버텼으나, 오래 못 가 뒷무릎까지 찢어졌다. 아깝더라도 버릴 수밖에.
‘전통은 아무리 더러운 전통이라도 좋다’(김수영)지만, 언젠가는 버려야 할 때가 온다. 한글 자음 이름도 그렇다. 한글 창제 후 백년쯤 지나 최세진은 어린이용 한자학습서 ‘훈몽자회’를 쓴다. ‘天’이란 한자에 ‘하늘 천’이라고 적어두면 자습하기 편하겠다 싶었다. 명민한 최세진은 이름만 배워도 그것이 첫소리와 끝소리에서 어떻게 발음이 되는지 알 수 있게 만들었다. ‘리을, 비읍’처럼 ‘이으’의 앞뒤에 ㄹ, ㅂ을 붙이면 첫소리와 끝소리를 연습할 수 있겠다. 그래서 ‘ㄹ’ 이름을 梨乙(리을), ‘ㅂ’ 이름을 非邑(비읍)이라고 지었다. 기발하고 참신하다.
그런데 처음부터 문제였다. ‘ㄱ’도 기윽이라 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윽’이라는 한자가 없다. 하는 수 없이 발음이 비슷한 役(역)을 써서 其役(기역)이라 했다. 이런 식으로 이름 붙인 게 ㄱ, ㄷ, ㅅ 3개다. ‘ㄷ’도 디읃으로 하고 싶지만, ‘읃’이란 한자가 있을 리 없지. 末(말)이란 한자에 동그라미를 치고 이건 뜻으로 읽으라고 해 놓았다. 옛 발음으로 ‘귿 말’이니, ‘디귿’ 되겠다. ‘ㅅ’도 時衣(시의)라 쓰고, 衣(의)에 동그라미를 쳤다. ‘옷 의’이니 시옷.
궁여지책이었다. 왜 ‘기역, 디귿, 시옷’인지 설명해 주는 선생도 드물었다. 외국인에게 가르칠 때도 이름은 슬쩍 넘어간다(그거 알려주다간 날 샌다). 남북이 함께 만드는 ‘겨레말큰사전’에는 ‘기윽, 디읃, 시읏’으로 통일했다. 어린이나 외국인에게 가르치기도 편하다. 바꿀 땐 바꿔야 한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국토부 ‘김건희 일가 특혜’ 양평도로 여론전…“경제성 0.1p 높다”
- 유인촌, ‘임명 반대’ 문화예술인에 “행동가들”…갈라치기 발언
- ‘장미란 키즈’ 김수현, AG 2전3기 첫 메달…판독 끝 기쁨의 눈물
- 김행, ‘주식파킹’ 묻자 “지금 생각해도 그 방법밖에”
- ‘KBS 사장 투표’ 결선후보도 사퇴…여권이사 사의 이어 파행 거듭
- 우크라 “동북부 마을 러 공습에 민간인 48명 숨져…6살도 포함”
- ‘21세기 사뮈엘 베케트’…노벨문학상 수상 욘 포세 누구?
- [단독] 유인촌 아들, 27살 때 6억 아파트 현금으로 샀다
- 한동수 “손준성, 고발장 전달 앞서 윤석열 전 총장에 보고 가능성”
- 중국, 육상선수 1·2위 껴안은 사진 삭제…‘6·4’가 뭐길래